|
이명박 대통령이 21일 오전 청와대에서 한-온두라스 정상회담을 하기에 앞서 포르피리오 로보 소사 온두라스 대통령을 기다리며 생각에 잠겨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
장·차관급·청와대 참모, 영남출신 36%
10%대 머물던 고대 출신 18%로 껑충
“인재풀 폐쇄적…소통 실패” 비판 외면
정부 고위직 편중인사
이명박 대통령은 21일 라디오·인터넷 연설에서 “공정사회는 사회 각 분야를 이끄는 지도층부터 솔선수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대통령인 저부터 적극 참여하고, 지속적으로 점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주로 헌법상 국민의 의무인 병역·납세·교육·근로와 관련한 ‘정책 과제’ 실천을 통한 공정사회 구현에 무게를 뒀다. 하지만 여권의 한 인사는 “이 대통령이 공정한 인사로 국민에게 감동을 주는 게 공정사회로 가는 첫 걸음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명박 정부는 취임 때부터 ‘고·소·영’(고대·소망교회·영남) 인사라는 호된 비판을 받았지만, 지난 3년간 상황은 별반 개선되지 않았다. 고위 공직자들의 출신 지역에서는 영남 독주, 대학에서는 고려대 약진이 눈에 띈다.
정부 장·차관급과 청와대 비서관 이상 참모들 165명 가운데 영남 출신은 60명(36.4%)이다. 10명에 4명 가까이가 영남인 셈이다. 반면 호남 출신은 14.5%(24명)에 그쳤다. 김대중, 노무현 정부에서 25~30%에 이르던 호남 비율이 이명박 정부에서는 대폭 줄었다.
|
강만수, 곽승준, 원세훈, 이현동, 조현오
|
이명박 정부에서 2~3차례씩 장관급 요직에 재기용되는 인물은 강만수 국가경쟁력강화위원장, 류우익 주중 대사, 이재오 특임장관, 임태희 대통령실장 등 10여명에 이른다. 김황식 국무총리(전 감사원장), 원세훈 국정원장(전 행정안전부장관), 박재완 고용노동부장관(전 청와대 정무수석, 국정기획수석), 맹형규 행정안전부장관(전 청와대 정무수석, 정무특보),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장관(전 청와대 교육과학문화 수석), 백용호 청와대 정책실장(전 공정거래위원장, 국세청장), 곽승준 미래기획위원장(전 청와대 국정기획수석) 등이 대표적이다. 박형준 대통령 사회특보(전 청와대 홍보기획관, 정무수석), 이동관 언론특보(전 청와대 대변인, 홍보수석)도 여기 포함된다.
|
이명박 정부 차관급 이상(101명) 및 청와대 비서관 이상 (64명) 출신대학 분포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