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1.09.22 20:57
수정 : 2011.09.22 23:10
|
위부터 신재민 전 차관, 김두우 전 수석, 은진수 전 감사원장, 김해수 전 비서관
|
청, 비리 본격화에 당황
야 ‘터질게 터졌다’ 비판
이명박 정부가 임기 1년 반을 남기고 줄줄이 불거지는 측근 비리 돌부리에 걸려 휘청거리고 있다. 연루 인사들은 한결같이 이 대통령의 신임이 두터운 핵심 측근들이다.
22일, 신재민(53) 전 문화체육관광부 차관이 이국철(50) 에스엘에스(SLS)그룹 회장한테서 십수억원의 금품을 제공받았다는 의혹이 불거지자 청와대 인사들은 한숨을 쏟아냈다. 김두우(54) 전 청와대 홍보수석에 이어 ‘신재민 추문’이 터지면서 ‘연타석 홈런’을 두드려 맞은 셈이기 때문이다. 청와대 참모들은 이날 유엔총회 연설을 위해 미국 뉴욕을 방문중인 이 대통령에게 관련 사실을 즉시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재민 전 차관과 김두우 전 수석은 직급을 넘어 이 대통령의 신임이 누구보다 두터운 인물이었다. 신 전 차관은 이 대통령의 대선 캠프인 ‘안국포럼’ 출신으로, 문화부 차관 시절 종합편성 채널 등 현 정부의 미디어 정책을 총괄했던 실력자였다. 당시 그에겐 ‘왕 차관’, ‘실세 차관’이라는 말이 쫓아다녔다. 이 대통령도 지난해 8월 그를 문화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하는 등 각별한 신임을 내보였다. 김 전 수석은 정권 출범 때부터 청와대에 몸담으며 메시지기획관, 기획관리실장, 홍보수석비서관을 역임했다. 그 역시 누구보다 이 대통령과 자주 대면했던 측근 중의 측근이었다.
신 전 차관은 <한국일보>, <조선일보>, 김 전 수석은 <중앙일보> 출신으로, 비슷한 연배다. 현재까지 드러난 정황을 종합해보면 두 사람의 연루 의혹 모두 사업가나 로비스트로부터 법인카드나 상품권 등을 정기적으로 받은 ‘스폰서 비리’로 분류된다. 이들이 스폰서의 대가로 해준 ‘특혜’의 내용이 밝혀지면 파장이 더 커질 수도 있다. 김유정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스폰서 검사에 이어 스폰서 차관이니 스폰서 공화국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이명박 정부의 측근비리는 올해 6월 들어서면서 터지기 시작했다. 지난 6월 대선 캠프에서 일했던 은진수(50) 전 감사위원이 부산저축은행과 관련해 7000만원을 받은 혐의로 기소됐고, 7월엔 이 대통령의 국회의원 시절 보좌관으로 일했던 윤만석씨가 저축은행 브로커한테서 1억원을 받은 혐의로 광주지검에 구속됐다. 8월엔 대선 캠프에 몸담았고 청와대 정무1비서관을 했던 김해수(53) 전 한국건설관리공사 사장도 기소됐다.
청와대는 앞으로 측근비리가 추가로 불거질 가능성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갈수록 ‘입을 열 사람’이 많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신재민 전 차관에게 금품을 제공했다고 폭로한 이국철 회장은 돈을 준 또다른 정권 실세 두 사람의 이름을 때가 되면 밝히겠다고 예고하고 있다.
야당의 공세도 더욱 가팔라지고 있다. 김유정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22일 낸 논평에서 홍상표 전 홍보수석의 실명을 적시하며 “저축은행 구명로비 대가로 금품을 받고 검찰수사 중인 김두우 전 홍보수석과 같은 의혹을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용섭 대변인은 “알려진 액수나 수수 기간도 놀랍지만 돈의 일부가 대선 경선 캠프로 흘러들어 갔다는 주장은 충격적”이라며 검찰의 즉각 수사를 촉구했다. 안창현 기자
blue@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