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5.07.27 18:23
수정 : 2005.07.27 18:23
산업자원부 직원들은 27일 신설 제2차관에 이원걸 자원정책실장이 임명되자 이 실장이 현재 자원업무를 총괄하고 있다는 점에서 대체로 무난한 인사라는 반응을 보이면서도 후속 인사와 조직개편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직원들은 복수차관제 도입으로 조직이 일대 변화를 맞게 됐음에도 불구하고 제 2차관이 내부 승진에 의해 임명됨으로써 이희범 장관, 조환익 차관, 이 신임 제2차관이 업무 호흡을 맞추는 데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기대했다.
특히 최대 국책사업 중 하나로 산자부 최대 현안인 방사성폐기물처리장 연내 선정을 앞두고 있는 시점이어서 이 제2차관 임명은 민감한 방폐장 선정 작업의 안정성과 연속성을 기하는 데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산자부에서는 이 실장의 승진에 따라 조만간 단행될 후속 1급, 국장급 인사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급 승진 대상자로 거론되고 있는 고참 국장으로는 산업.무역 분야의 이승훈 자본재국장(행시 21회), 신동식 무역유통심의관(22회), 에너지 분야의 고정식 에너지산업심의관(79년 특채), 김신종 전기위원회 사무국장(22회) 등이 있다.
이번 인사를 계기로 고참 1급들의 물갈이가 확대될 것인지도 주목거리이나 아직까지 구체적인 논의나 움직임은 감지되지 않고 있다.
산자부는 복수차관제 도입을 계기로 조직개편 필요성이 커지고 있어 그 폭과 방식에 대해 고심하고 있다.
제1차관과 제2차관은 업무량의 형평성을 감안해 각각 3개의 1급 기구들을 맡는 방향으로 업무 분장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조 제1차관이 차관보, 기획관리실, 무역투자실를 맡고 이 제2차관이 자원정책실, 무역위원회, 기술표준원을 맡되 그동안 자원정책실 밑에 있던 원전사업기획단, 전기위원회는 제2차관 직속으로 둔다는 것이다.
차관보 업무의 일부를 제1차관 직속으로 두고 차관보 직제를 산업정책실로 바꾸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으나 아직은 시안 수준이며 내부 여론수렴 과정을 거쳐야 한다.
자원업무를 강화하기 위해 자원 분야에 국을 추가로 신설해야 한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으나 행정자치부, 기획예산처와 협의해야 하는 등 당분간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서울=연합뉴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