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8.17 10:07 수정 : 2005.08.17 17:42

김우식 청와대 비서실장이 최근 사의를 표명했고 노무현 대통령이 이를 수용할 것으로 17일 알려짐에 따라 집권 후반기 청와대 비서실의 진용과 운용방향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사의표명이 오는 25일 임기반환점을 앞듯 이뤄졌고, 김 실장의 교체가 문책성이 아니라는 점에서 후임 비서실장 인선 방향은 노 대통령의 후반기 국정운영 구상을 가늠할 수 있는 리트머스 시험지가 될 것이라는게 중론이다.

김 실장의 사의표명 배경과 관련, "참여정부 후반기를 맞아 노 대통령의 새로운 선택의 폭을 넓게 하는 차원"이라는 청와대 관계자의 설명도 이같은 관측을 뒷받침하고 있다.

아울러 당.정.청의 핵심 포스트중 하나인 청와대 비서실장의 교체가 연내 개각방향에 영향을 미칠지, 그리고 일부 수석 교체를 포함한 청와대 비서실 개편으로까지 연결될지도 주목된다.

내년 5월 지방선거를 앞듯 있는데다, 연말까지 '연정' 관철을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이 문제를 제기하겠다는 청와대 입장도 '전반적인 개편'을 전망하게 하는 근거가 되고 있다.

지난해 2월 문희상 당시 비서실장의 총선 출마로 '바통'을 이어받은 김 실장은 참여정부 초반 논란이 된 '코드 인사' 시비에서 벗어난 인물로, 참여정부의 외연을 확장하는데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연세대 총장 출신의 김 실장은 지난 1년6개월 동안 보수적인 인사들까지도 두루 만나며 노 대통령의 국정철학과 진의를 알리는 등 청와대내 진보와 보수의 가교역할을 맡아왔다.

전임 문희상 실장이 집권 초반기 과제인 정치개혁을 위한 당.정 가교 역할에 무게중심을 뒀다면, 김 실장은 특히 대통령 탄핵사태, 경제위기논란 등으로 표출된 사회내 갈등을 추스르는 '실용주의' '관리.안정형' 비서실장으로서의 임무가 부여됐다고 볼 수 있다.


이같은 측면에서 후임 비서실장은 당.정.청의 각 분야에 노 대통령의 집권후반기 국정구상을 전파하고, 집행하는 역할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측근 인사의 중용이 점쳐지고 있다.

최근 대연정 제안이나 8.15 경축사의 과거사정리를 위한 '시효배제' 언급의 해석을 둘러쏀 여권내 혼선이 있었던 점도, 비서실 진용을 보다 강력한 '친정체제'로 구축해 국정을 치밀하게 관리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에 비중을 둣 하는 대목이다.

집권 후반기 돌입을 앞듯 대연정과 선거구제 개편 문제를 비롯, 옛 안기부 및 국정원 불법도청사건, 과거사법 보완 등 당면 현안들이 해법이 간단치 않은 굵직굵직한 사안들이기도 하다.

때문에 후임 비서실장에는 노 대통령의 국정철학을 새롭게 '학습'할 필요가 없이, 대통령의 속내까지도 읽을 수 있는 핵심 측근이 발탁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런 관점에서 김병준 정책실장과 허성관 전 행자부장관이 유력하게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고, 박봉흠 전 정책실장 기용 가능성도 흘러나오고 있다.

김 실장은 참여정부 출범이전부터 노 대통령의 '브레인' 역할을 해왔고,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장, 정책실장을 맡으며 참여정부 정책을 총괄해왔고, 정무 감각도 갖추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는 점에서 유력한 후보이다.

지난 1월 개각에서 물러난 허성관 전 장관은 교수 출신으로 장관직을 무난히 수행했고, 공무원들은 물론 정치권으로부터 호평을 받은데다, 노 대통령의 신임이 여전히 두텁다는 점에서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지난해 6월 신병으로 청와대 정책실장직에서 중도하차했지만, 정책추진력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던 박봉흠 전 실장의 복귀 가능성도 흘러나오고 있다.

청와대 한 관계자는 "우선 정기국회를 앞듯 있기 때문에 그런 부분에 대해 잘 대응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 되지 않겠느냐"고 말해 정책과 정무 기능을 겸비한 인물이 후임 인선의 기준이 될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열린우리당 일각에서는 정치적 감각을 갖춘 인물이 비서실장에 기용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