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8.17 19:20 수정 : 2005.08.17 19:21

유인태 원혜영등 거론 후임 저울질
비서실 개편은 소폭 그칠 가능성

김우식 청와대 비서실장의 교체로 노무현 대통령의 정국운영 방식에 변화가 올지 관심이다.

청와대 한 핵심관계자는 17일 “김 실장은 애초 올 연말 개각 때 자리를 바꿀 예정이었으나, 시기가 앞당겨졌다”며 “(이번 조기 교체에는) 노 대통령이 새로운 틀을 짜겠다는 의지가 실려 있다”고 말했다. 김 실장의 공식적인 사의 표명 이유도 “대통령의 국정운영 폭을 넓혀드린다는 차원”이다.

청와대에서는 그동안 임기 반환점이 다가오면서 진용을 새로 짤 필요성이 대두돼 왔고, 그 논의의 중심에 김 실장이 있었다. 김 실장이 386 출신들의 미숙함을 보완하고 내부를 다독이는 관리능력 면에서는 높은 점수를 받아 왔지만, 요동치는 정국에 기민하게 대처하는 데는 한계를 보여 왔다는 평가 때문이다.

최근 386 출신들의 맏형 격인 이호철 제도개선비서관을 핵심 요직인 국정상황실장으로 기용한 것도 이런 기류와 맞닿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새 비서실장은 정치인 출신의 ‘정무형’으로 가야 한다는 데 청와대 안팎의 공감대가 형성돼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철도청 러시아유전 개발사업 의혹이나 행담도 사건 처리과정에서 드러났던 상황대처 능력의 부족을 메우고, 집권 후반기 주요 과제로 떠오른 연정, 선거구제 개편, 과거사 청산 등을 끌고 갈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사람을 찾는 기준이 이렇다 보니, 애초 유력하게 거론되던 김병준 정책실장이나 문재인 민정수석은 후보군에서 뒤로 빠지는 분위기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김 실장이나 문 수석은 어느 자리에 있든 둘 다 대통령을 모시는 고유의 역할이 있다”며 “이들을 비서실장에 앉혀봐야 외부의 공격만 받지, 일을 하는 데는 득 될 것이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김 실장 후임은 외부에서 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건강상의 이유로 청와대를 떠났던 박봉흠 전 정책실장 얘기도 나오고 있으나, 주요 과제가 ‘정치’인 만큼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현역 정치인들 가운데는 유인태 의원과 원혜영 의원 등이 거론되고 있다. 노 대통령의 철학을 새로 학습할 필요 없이 바로 ‘실전’에 투입할 수 있는 인물들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의원직을 버려야 하는 부담이 크기 때문에 실현 가능성은 미지수다.


이상수 전 의원 얘기도 나오고 있지만, 사면복권이 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야당으로부터 비판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누가 비서실장이 되든, 과거 정권과 같은 ‘2인자’나 ‘실세형 비서실장’은 되지 않을 것이라는 게 청와대 참모들의 얘기다. 한 참모는 “노 대통령은 과거 김영삼, 김대중 정부 때 비서실장들이 대통령을 대신해 국정을 총괄하면서 생긴 부작용이 너무 컸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그런 기능을 이해찬 총리에게 맡긴 셈”이라고 말했다.

자연히, 청와대 개편도 아주 소폭에 그칠 것이라는 게 참모들의 공통된 얘기다.

한때 청와대 안팎에서는 노 대통령의 뜻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이해하려는 노력도 부족한 인사로 3명의 수석이 경질대상으로 꼽히기도 했으나, 이번 인사에서는 반영되지 않을 예정이라고 한다. 다만 이강철 시민사회수석이 10월 재·보선에 투입될 가능성이 남아 있으나, 출마를 희망하는 지역구 국회의원의 선거법 위반 대법원 판결이 9월말에 있을 예정이어서 이번 인사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김의겸 기자 kyummy@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