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PCRM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 정책고객의 명부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한 분석과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는 지난 7월 노무현 대통령의 지시에 따른 것이다.
새로운 행정 혁신 차원에서 모든 공무원이 스스로 콘텐츠를 만들고 정책고객 명단을 구축함으로써 적극적으로 정책품질을 관리하고 정책홍보를 관리해야 한다는 게 노 대통령의 지론이다.
이에 따라 청와대 홍보수석실은 그동안 PCRM의 대상이 되는 정책고객 데이터베이스(DB)를 재정비하고 정책에 대한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콘텐츠를 생산하는 방향으로 시스템을 정비해왔다.
청와대는 정부 출범 이후 구축한 10만명 가량의 정책고객 DB를 토대로 이들 정책고객을 정치.경제.외교안보 등 분야별로 재분류하는 동시에 PCRM의 활성화가 가능하도록 DB를 재정비하고 있다.
또한 청와대가 발송한 e-메일이 소위 `스팸메일' 수준으로 전락하는 것을 막기 위해 `e-메일 수신 의사 확인 → e-메일 발송 → 정책고객의 의견수렴' 순으로 PCRM 절차를 개선키로 했다.
특히 그동안 일방적인 정책홍보 내지 설문조사 등으로 콘텐츠를 채운 것과 달리 오피니언 리더들의 정책대안을 유도할 수 있는 `질문'을 콘텐츠에 담아 쌍방향 의사소통을 해나간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정책고객의 `전공분야'에 맞게 내용을 달리하는 e-메일을 발송, 전문성을 담보한다는 계획이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16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현재 PCRM 시스템을 정비중에 있으며 시범운영을 거쳐 10월부터 시스템을 본격 가동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범현 기자 kbeomh@yna.co.kr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