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5.10.03 16:59
수정 : 2005.10.03 16:59
문재인, 청와대 홈피서 공개
청와대는 달라진 시대, 업무 성격의 변화에 따라 '민정수석실'의 명칭을 바꾸는 방안을 추진중인 것으로 3일 알려졌다.
문재인 민정수석은 이날 개편된 청와대 홈페이지의 청와대 통신중 '문재인의 호시우행' 코너를 통해 "'민정'이라는 말 자체가 '국민의 사정과 형편'을 뜻하는 말이어서 매우 광범위하고 포괄적"이라며 "대통령을 둘러싼 권력의 문화가 크게 바뀌고 있는 시대 변화에 맞춰 민정수석실의 역할도 바뀐만큼 탈권위주의 시대에 맞는 좋은 이름이 없을까 널리 찾고 있는 중"이라고 밝혔다.
문 수석은 "전통적으로 민정수석실의 업무는 여론 수렴과 민심동향 파악으로 규정되어 왔다"며 "그러나 지금은 인터넷으로 네티즌들의 여론이 실시간으로 파악되고, 오프라인상의 여론도 전문적인 여론조사 방식에 의해 필요할 때마다 조사되어,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부터 '말씀'에 대한 여론의 반응에 이르기까지 아무 가감업이 보고되므로 '여론 수렴과 민심동향파악'을 위한 민정수석실의 역할은 크게 줄어들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문 수석은 "지금은 대통령에 대한 법률적 보좌와 행정작용의 법치주의를 강화해 나가는 것이 민정수석실의 기본업무가 아닐까 생각하고 있다"고 규정했다.
노무현 대통령도 이런 관점에서 민정수석실의 이름을 바꾸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해다고 문 수석은 전했다.
민정수석실 산하 비서관실 이름에 붙는 '사정' '공직기강' 등의 명칭이 권위주의적 냄새가 물씬 풍긴다는게 민정수석실의 판단이며. 이를 대신할 탈권위주의적 명칭을 찾고 있다는 것.
청와대 관계자는 "권위주의 시대 '공작적인' 이미지를 연상케 하는 이름을 벗어나자는 차원에서 검토되고 있지만, 단지 이름의 문제가 아니라 민정수석실의 역할에 대한 고민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여러 아이디어를 생각중"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법률적 보좌뿐 아니라 대통령의 국정수행과정에서의 올바른 판단을 위한 정보활동의 강화도 민정수석실에 더욱 필요하다는 문제제기도 있다.
문 수석도 이 같은 맥락에서 "(러시아) 유전사건과 행담도사건의 예를 들면서 민정수석실의 정보활동을 더욱 강화, 그런 문제의 발생을 예방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주문도 있고, 그런 역할이 미흡하지 않았느냐는 지적도 일리가 있다"며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문제"라며 민정수석실의 역할 설정에 고심중임을 시사했다.
성기홍 기자
sgh@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