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11.15 00:23 수정 : 2005.11.15 00:23

노무현 대통령과 열린우리당 임시지도부간 14일 회동 이후 당.청간 새로운 관계 설정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0.26 재선거 패배이후 당내 일각에서 노 대통령 책임론과 함께 당.청간 의사소통 부재가 강력히 제기됐던 만큼, 여당 임시지도부로서는 출범후 첫번째 대통령과의 만남에서 이 문제에 대해 어느정도 가닥을 잡을 필요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회동의 결론은 `특별한 변화는 있을 수 없다'는 것이었다. `당.정 분리'라는 기본 골격은 변할 수 없으며, 과정상 문제가 있다면 내용의 미비점을 보완하자는 것이다.

노 대통령은 "이(당정분리) 원칙은 정치문화의 변화에 따라 세워지고 지켜온 것"이라며 "앞으로도 이 원칙하에서 이제까지 그래왔던 것처럼 당과 대화하고 협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세균 당의장 겸 원내대표가 당.청관계와 관련, 소통과 관련한 개선책을 마련해 건의하면 청와대가 적극 검토해달라는 뜻을 전했고 이에 노 대통령은 "참작하겠다"는 원론적인 언급만 한 것으로 알려졌다.

잇단 재보선 참패를 거울삼아 당.정.청 사이를 가로막는 벽을 없애고 상호 긴밀한 소통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는 여당측 의견과는 다소 거리가 느껴지는 대목이다.

노 대통령의 이러한 언급은 한마디로 당.청관계를 근본적으로 바꿔야할 이유가 없고, 시대의 흐름상 바꿀 수도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노 대통령이 "(대통령이) 당적을 갖고 있을 뿐 사실상 당에 어떤 권한이나 권력을 행사할 수 없는, 상당히 초연한 관계에 있기 때문에 과거 수직적 당.청관계로 돌아가긴 어렵다"고 말한 것이 이러한 인식을 단적으로 드러낸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정치 현안은 여당이 주도적으로 풀어나가고, 정책적 사안은 여당과 일상적 국정운영을 책임지는 총리가, 외교.안보와 중.장기적 미래구상은 청와대와 대통령이 각각 맡는, 여권의 삼각 역할분담 체제는 앞으로도 흔들림없이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당청관계를 구성하는 내용적 측면에서는 다소나마 변화가 뒤따를 것이란 전망이 적지 않다.

특히 여당 내부에서 강력히 제기하고 있는 '대화단절' 문제를 극복하는 차원에서 당과 청와대를 잇는 원활한 의사소통 통로가 마련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노 대통령도 "언제라도 허심탄회하게 만나고 협의하면 충분히 공통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나아가 노 대통령은 정 의장이 "(당이) 총리와 협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대통령과 만나 이야기하는 것도 또다른 의미가 있어 자주 뵙고 연락하겠다"고 하자 "그렇게 하라"고 말했다고 전병헌 우리당 대변인이 전했다.

이런 점에 미뤄볼 때 노 대통령은 당청관계의 기존 틀은 유지하되 여당의 대화 요구에 흔쾌히 응하는 '스킨십'을 한층 강화함으로써 정부와 청와대에 대한 당의 여론을 수렴하는 동시에 당.정.청간의 유대를 꾀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재현 기자 jahn@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