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8.04.02 21:34
수정 : 2018.04.03 00:34
제주 4·3사건 70돌 추도사에서
“희생자에 대한 위로를 전할 것”
|
청와대사진기자단.
|
문재인 대통령이 3일 70돌을 맞는 제주 4·3 사건 추도사에서 국민 통합을 위한 4·3 사건의 완전한 해결을 언급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지난 대선에서 완전한 명예회복 조처의 일환으로 약속한 피해자와 유족에 대한 국가의 배상·보상 방안이 담길지 주목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2일 “문 대통령이 추도사에서 국가 폭력으로 희생된 제주도민에 대한 위로를 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대선 후보시절부터 “4·3 사건에 대해 완전한 해결을 추진하겠다”고 약속해왔다. 그는 대선 공식 선거운동 둘쨋날인 지난해 4월18일 제주를 찾아 “69년전 4월 제주에서 이념의 의미도 모르는 많은 양민들이 희생당했다”며 “4·3 문제의 완전한 종결은 (희생자들에 대한) 완전한 명예 회복을 위한 조치인 배·보상까지 가야한다”고 말한 바 있다. 그는 4·3 평화공원 방명록에는 “4·3 제주가 외롭지 않게 제주의 언덕이 되겠다”고 적었다. 또 “대통령에 당선돼 내년 70주년 추념식에는 반드시 참석하겠다”고 약속했다. 4·3 사건은 제주도민들이 남한 단독 선거와 친일 경찰의 횡포에 항거한 사건으로 당시 제주도민의 10분의 1에 해당하는 2만5천에서 3만명이 군·경의 강경진압 과정에서 희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2003년 10월 “국정을 책임지고 있는 대통령으로서 과거 국가권력의 잘못에 대해 유족과 제주도민 여러분에게 진심으로 사과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사과한 바 있다. 정부는 2014년 4·3을 국가기념일로 제정했다.
문재인 정부는 ‘4·3 사건 해결’을 100대 국정 과제로 선정한 바 있다. 국정기획자문위원회는 “국가의 잘못으로 인한 피해자와 유족에 대한 국가의 배·보상, 과거사 청산과 사회 통합 지원이 국민 눈높이에 맞는 과거사 해결”이라며 암매장 유해 발굴과 희생자 추가 신고, 제주 4·3 70주년 기념사업 추진 등을 과제로 담았다. 한 여권 관계자는 “문 대통령은 국가 폭력에 희생된 이들에게 배상 책임을 다하는 것이 정의의 시작이라는 생각을 지니고 있다”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