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수 빨리 복귀해 연구전념토록 하자는 뜻"
노무현 대통령이 5일 황우석 교수팀의 줄기세포 연구성과 논란에 대해 내놓은 입장에는 국익을 훼손하는 소모적 논쟁을 접고, 황교수팀이 새출발하도록 지원하자는 메시지가 담겨 있다. 노 대통령이 이날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밝힌 언급은 세 가지로 요약된다. ▲황교수 연구성과 검증 문제는 이 정도에서 정리하고 황교수 연구과정에서 증명되도록 맡기도록 하고, ▲황교수팀의 조속한 연구현장 복귀를 촉구하며 ▲황교수팀에 대한 정부 지원 방침 재확인 등이다. 노 대통령이 황교수팀의 배아 줄기세포 진위공방이 완전 종결되지 않았음에도 불구, "이 정도에서 정리되기를 바란다"며 황교수팀에 대한 정부 지원 입장에 변함이 없다는 방침을 직접 밝힌 점은 주목된다. 이는 사실상 MBC PD수첩팀이 황교수팀의 연구성과가 '가짜'라고 주장하며 제시한 'DNA 검사' 방법과 판정('2번 배아 줄기세포 불일치')이 "과학적 오류"라는 황교수팀과 과학계의 입장을 받아들였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노 대통령은 지난달 27일 청와대 홈페이지 기고글에서 "PD수첩의 처음 취재방향이 연구자체가 허위라는 것이며, 그 일로 황교수가 매우 힘들어한다는 것이었고, 참으로 황당한 일이었다"고 밝혔던 것처럼 황교수팀 연구성과에 대한 신뢰는 일관됐다는 것이 청와대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런 상황에서 노 대통령이 정부 지원 방침을 재확인하며 일종의 '수습책'을 제시한 것은 이번 파문이 진정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고 판단, 하루 빨리 황교수팀의 연구 정상화가 시급하다는 인식때문으로 보인다. 황 교수팀 연구성과에 대한 검증 논란에 관해서도 별도의 검증 방법을 채택하기보다는 황 교수의 연구과정에서 증명되도록 맡겨야 한다는 원칙을 밝힌 점도 같은 맥락이다. PD수첩팀의 주장처럼 DNA 일치여부를 당장 재검증하는 방법으로는, 진위를 가리기는 커녕 오히려 혼란을 심화시키고, 국제적으로 공인된 학문적 성과를 스스로 훼손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는 것이 대체적 여론이기도 하다.노 대통령이 '현재진행형'인 논란에 예상보다 빨리 공개적으로 직접 입장을 표명한 것은 무엇보다 국내에서 야기된 이번 사건으로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줄기세포 연구, 특히 한국 과학계가 큰 타격을 받은 점을 우려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외신들은 "과학은 신뢰가 바탕이며 한국과학자들의 연구성과는 앞으로 극히 조심스럽게 평가될 것"이라고 지적했고, 이번 논란으로 황교수팀이 주춤거리고 국론이 쪼개지는 동안 미국, 영국 등은 줄기세포연구 지원을 오히려 활성화시키고 나섰다고 전했다. 특히 미국의 생명윤리학자인 데이비드 위닉코프 교수는 지난 4일 로이터 통신과 인터뷰에서 "다른 나라 연구자들은 황교수가 폭삭 망하는 것을 고대하고 있다"는 말까지 하며 국제 과학계의 분위기를 전했다. 따라서 노 대통령은 엄중한 국제과학계의 정세속에서 정부의 분명한 입장을 직접 표명하면서 '황교수 힘실어주기'에 나섰다고 볼 수 있다. 노 대통령 언급이 "과학계, 시민사회에서 논란이 정리되는 분위기인데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김만수 청와대 대변인은 "황교수가 조속히 복귀해 연구가 차질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자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노 대통령은 이날 이번 사건으로 논란 핵심으로 떠오른 PD수첩팀의 취재윤리를 어긴 강압적 취재방법에 대해서는 일체 언급을 하지 않았다. 노 대통령은 지난달 27일 기고글에서 PD수첩팀의 취재방식에 대해 "위압적이고 협박까지 하는 경우가 있다"고 밝혔고, 이후 오히려 박기영 과학기술보좌관의 '허위보고' 의혹이 제기되는 등 논란에 휩싸이며 '붙똥'이 청와대로 튀기도 했었다. 이러한 '보고'가 대부분 사실로 확인됐지만, 노 대통령이 추가 언급을 하지 않은 것은 PD수첩팀의 취재윤리 부분은 언론계의 자정으로 해결할 문제라는 인식때문이라는 것이 청와대 관계자의 설명이다. 성기홍 기자 sgh@yna.co.kr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