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6.01.02 19:46
수정 : 2006.01.02 19:46
“노-정 대화 요청하면 응하겠다”
노동계 인사들은 이상수 전 의원의 노동부 장관 입각 소식에 대체적으로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특히 양대 노총이 모두 ‘환영’과 ‘기대’를 표시해 장기간 수렁에 빠져 있던 ‘노정관계 회복’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한국노총은 2일 “때늦은 감은 있으나, 노동부 장관 경질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정길오 대변인은 “이 신임 장관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을 지내는 등 적임자로 본다”며 “일방통행식 행정으로 노사정 관계를 파탄낸 전임 김대환 장관의 전철을 밟지 않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정 대변인은 “노동행정은 지금까지의 ‘일방적 정부 주도’에서 탈피해 ‘노사 양자 관계’의 성숙과 발전을 지원하는 패러다임의 전환을 요구받고 있다”며 “새 장관은 이 시대적 과제를 풀어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반면 민주노총은 이날 논평을 통해 “장관 하나 바뀐다고 신자유주의 정책이 바뀔 리는 없고 (현 정부에) 기대도 잃은 지 오래”라고 밝혔다. 하지만 민주노총은 “그럼에도 신임 노동부 장관은 그동안 ‘인권’과 ‘노동권에 대한 존중’을 주장해온 만큼, 노동행정을 통해 자신의 주장에 책임지는 모습을 보고 싶다”며 이 장관에 대한 ‘기대’를 표시했다.
노동부 장관 교체를 계기로 한 노-정 및 노-사-정 대화 재개 여부에 대해, 양대 노총은 모두 “거부할 이유가 없다”며 대화에 적극 태도를 보였다. 한국노총은 “이 신임 장관이 전례대로 신임인사차 노총을 방문하면 기꺼이 맞이할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노총도 “새 장관이 대화를 요청하면 응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두 노총 모두 노사정위원회 복귀 여부 등에 대해선 “신임 장관의 행보를 지켜보며 결정할 것”이라고 신중한 태도를 나타냈다.
학계와 시민단체 인사들도 “노정 관계 회복에 대한 기대”를 표시했다. 임상훈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노사관계학 박사)은 “이 장관이 인권변호사 출신에다 노동계의 현실을 잘 아는 인물이어서, 노동계와 불필요한 마찰이나 대결은 피하려 노력할 것으로 본다”며 “비정규직 법안과 노사관계로드맵 처리 문제 등이 여전히 남아 있지만, 노정 관계가 지금보다는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양상우 기자
ysw@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