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1.08 18:09 수정 : 2006.01.08 18:09

노무현 대통령이 '유시민 장관'을 발탁한 것은 쩌대 지도자 육성 차원이라는 청와대측의 설명이 정가의 다양한 해석을 낳고 있다.

그러나 청와대는 일단 '차기 대권 구도'와 관련한 정치적 해석을 경계했다.

여러 논란이 있었던 만큼 노 대통령이 유 의원을 발탁한 배경을 차북게 설명하는데 방점이 있다는 것이다.

노 대통령이 당초 열린우리당 지도부와 만나 '유시민 장관' 발탁 배경을 차북고 진지하게 설명할 생각이었지만, 이 자리가 무산됨에 따라 윤태영(尹) 연설기획비서관의 '국정일기'를 통해 `1.2 개각'에 관한 입장을 밝힌 것이라는 얘기이다.

윤 비서관의 글에서 유 의원을 "차세대 또는 차차세대를 이끌고 갈 지도자의 재목"이라고 표현된 점도 당장 2007년 차기 대선 구도를 겨냥한 것으로 해석될 것을 경계한 정제된 표현이라는 것이 청와대 관계자의 설명이다.

하지만 유 의원을 '차세대 지도자 그룹' 반열에 올려놓았다는 점에서 추후 열린우리당의 장래와 관련해 다양한 해석을 낳을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참여정부 출범후 수 차례 개각이 있었고 여러 정치인들이 입각했지만 이번처럼 "차세대 지도자를 키우려는 것"이라는 설명을 청와대가 공개적으로 한 것은 처음이다.

더욱이 유력한 차기 대권주자인 정동영, 김근태 전 장관이 접 나선 '2.18 전당대회' 레이스가 본격화되는 시점이라는 점도 노대통령의 '차세대 지도자 양성론'이 정가의 주목을 받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윤 비서관 글의 핵심은 "차세대 지도자들은 우리 정치와 국가의 중요한 자산이기 때문에 이들이 경험을 쌓고 더욱 성숙해지도록 길을 열어주는 것이 대통령이 나라의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해야 할 기본적 일"이라는 대목에 담겨 있다.

이 같은 원칙에 비체 때 유 의원은 일정한 당내 지지기반에 대중성까지 갖추고 있고, 전문적 정책역량을 겸비, 차세대 지도자 그룹에 포함될 요건을 겸비하고 있기 때문에 키워야 한다는 논리인 셈이다..

그것이 이번 개각에서 당내 반발에도 불구, 유 의원은 보건복지부 장관에 기용한 이유라는 설명이다.

노 대통령은 일찌감치 유 의원을 장관에 기용할 생각을 갖고 있었고, 그것은 지난 2004년 7월께였다고 한다. 당시 이번에 산자부 장관으로 입각한 정세균 의원, 지난해 6월 입각한 천정배 법무장관과 더불어 유 의원을 주목했다는게 윤 비서관의 설명이다.

"대통령은 중요한 자리의 인사를 가급적 미리 준비하고 내정한다"는 윤 비서관의 설명처럼 '차세대 지도자 그룹'으로 분류된 이들은 시차를 달리하며 차례로 국무위원으로 중용됐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대통령은 지도자를 키워야 하고,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줘야 한다는 것이 지론"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노 대통령의 생각은 자신의 해양수산부장관 경험이 국정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됐었다는 인식에서 비롯되고 있고, 이때문에 차세대 지도자급 정치인들은 내각에서 보다 성숙해지는 기회를 가져야 한다는 생각이 확고하다는 것.

특히 "대통령 스스로가 레임덕을 두려워해 차세대 지도자를 키우는데 소극적이어서는 안된다는 인식"이라는 설명은 당과의 일정한 마찰에도 불구, 차세대 지도자군을 다양화하겠다는 것이 노 대통령의 신념이라는 해석이 가능한 대목이다.

2월말께 예상되는 2차 개각을 비롯해 향후 개각에서 40대 당내 소장파 그룹의 입각 가능성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게 하는 대목이다.

그러나 청와대 관계자들은 '차세대 지도자 양성'으로 규정한 '유시민 입각'을 당장 2007년 대선 구도와 연결짓는 해석은 과도한 해석이라며 경계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정동영, 김근태 전 장관은 이미 당내외적으로 차기 주자그룹으로 꼽히고 있고 그런 당내 기반을 갖고 있지만 유 의원은 좀 다른 경우"라며 "유시민 입각을 차기구도와 연결짓는 것은 과잉해석이며 차세대, 차차세대를 이끌 지도자군을 키우는 일반적인 의미로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유 의원 입각 논란도 정리된 시점이기 때문에 당에 유 의원을 입각시킨 이유에 대해 차북게 설명하려는 차원에서 윤 비서관이 글을 정리한 것"이라며 거듭 정치적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성기홍 기자 sgh@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