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1.09 11:37 수정 : 2006.01.09 11:37

노무현 대통령이 올해 국정운영 방향을 밝히는 18일 신년특별연설에서는 민생과 경제문제가 가장 비중있게 언급될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의 연두 연설이 갖는 상징적 의미와 국민적 관심도를 반영해 새해 국정운영의 핵심인 경제 청사진과 목표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국민에게 이해를 구하는데 초점이 맞춰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연두연설이란 특성을 감안, 미래위기 요인에 대비한 새로운 비전과 정책 대안을 내놓기보다는 국민들의 현실적 관심사와 이에 대한 혜 제시에 방점을 둠으로써 경제회생에 대한 노 대통령의 강력한 의지를 강조할 것이란 관측과 맥을 같이 한다.

노 대통령은 앞서 병술년 신년사에서도 민생문제 해결에 대한 자신감을 피력하면서 서민 살림살이에 대한 남다른 관심을 표시한 바 있다.

신년사에서 "IMF위기는 이제 완전히 넘어갔고 후유증도 거의 극복되고 있음에도 서민들의 살림살이를 아직 어렵다"며 "새해에는 서민들의 형편이 한결 나아질 수 있도록 집중적인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다"고 밝힌 것이 바로 그 대목이다.

청와대 핵심 참모는 9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국민들은 당장 현실적 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는 만큼 신년연설에서는 현재 경제상황에 대한 점검과 함께 서민경제회복을 위한 대통령의 구상이 드러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청와대가 당초 계획을 바꿔 특별연설을 통해 국정운영 방향을 제시하고, `미래구상'의 구체적 내용 발표는 취임 3주년인 내달 25일 전후로 미룬 것도 이런 고려가 다각도로 반영된 것이란 해석도 있다.

하지만 현재 노 대통령의 신년 특별연설에 구체적으로 무엇이 담길지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단지 "양극화 해소, 국민통합 등에 대한 인식과 고민을 국민들께 직접 이야기할 것"이라고는 김만수 청와대 대변인의 언급으로 미뤄 경제문제에 대한 현실 진단과 함께 대국민 호소가 담길 것이란 전망이 우세한 상황이다.

한 핵심관계자는 "연설문 초안이 앞으로 논의과정에서 여러차례 수정되고, 가다듬어질 것이라서 뭐라고 말하기는 이르다"면서도 "결국 경제가 중심이 되지 않겠는가"라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특히 양극화를 비롯해 현실적 위기 요인으로 대두된 국민연금 고갈문제, 저출산.고령화 및 보육문제에 대한 고민을 솔직하게 토로하면서 이에 대한 전국민적인 관심을 환기시키는 방안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미래 위기요인은 적시하되 혜 제시는 내달 미래구상 발표 시점으로 늦춰질 공산이 크다.

이에 따라 신년연설에서는 정국에 파장을 낳을 수 있는 정치적 메시지나 중대제안은 없을 것이라는 게 청와대측의 설명이다.

같은 맥락에서 현재 표류중인 국민대통합 연석회의처럼 노사정 대타협 등 주요 사회적 현안 해결을 위한 협의체 구성 제안도 배제될 가능성이 높다.

한 관계자는 "신년연설은 대통령이 고민을 던지고 국민의 관심을 불러모으는 성격이 강하다"며 "정치적 합의가 필요한 협의체 구성 문제의 경우 국민적 여론을 봐야하기 때문에 연설에 담기는 것은 성급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김재현 기자 jahn@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