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1.10 21:37 수정 : 2006.01.10 21:37

김만수 대변인 “당 지도부서 의견수렴해 전달”

청와대가 열린우리당 초·재선 의원 34명의 노무현 대통령 면담 요구를 사실상 거부했다. ‘34명 모임’은 일단 11일로 잡힌 노 대통령과 당 지도부의 만찬 결과를 지켜보고 앞으로의 대응 방향을 정하기로 했다.

김만수 청와대 대변인은 10일 “초·재선 의원들의 뜻은 11일 만찬 간담회 참석자들을 통해 (노 대통령에게) 전달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당 지도부가 의원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청와대에) 전달하기로 유재건 임시 당의장과 협의가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이번 사안으로 당 지도부와, 면담 요구 의원들을 이중으로 만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청와대의 속내엔 ‘34명’의 대표성을 인정하지 못하겠다는 판단도 깔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유재건 의장을 비롯한 당 지도부는 11일 아침 청와대에 ‘할 말’이 있는 의원들을 여의도의 한 음식점으로 불러 의견을 듣기로 했다.

대통령 면담을 요구한 의원들은 청와대의 방침을 전해들은 뒤, ‘일단 지켜보자’는 반응을 보였다. 문병호 의원은 “만찬에서 대통령이 당-청 관계의 재정립 문제를 진지하게 이야기한다면 면담이 꼭 필요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하지만 지도부와 노 대통령의 11일 만찬이 형식적인 자리로 그친다면 더 이상 묵과하기는 힘들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정장선 의원도 “만찬 결과를 보고 12일쯤 의원들이 모여 앞으로의 대책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이종걸 의원과 안영근 의원은 “만찬은 만찬이고, 면담은 면담”이라며 “분명한 문제의식을 전달하기 위한 별도의 자리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선을 그었다. 지도부를 통해 간접적으로 전달되는 의견은 한계가 있을 게 뻔한 만큼, 그냥 넘어갈 수는 없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열린우리당의 한 관계자는 “대통령이 원할 때는 의원들에게 면담하자고 하더니, 당에서 요구할 때는 거부하는 것은 납득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한편, 여당 안에선 ‘34명 모임’의 요구를 비난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른바 ‘친노계열’로 분류되는 이화영 의원은 “34명의 대통령 면담 요구가 당에 도움이 되는 행동인지 모르겠다”며 “그런 주장은 전당대회나 다른 공식적인 자리에서 제기하면 되는 것 아니냐”고 따졌다. 당직을 맡고 있는 한 재선 의원도 “의원들의 문제제기 방식에 문제가 있다”며 “그런 방식으로 하면 청와대로서도 면담을 받아들이기가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태희 기자 hermes@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