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3주년 발표않고 사회적 공감대 보며 가닥잡기로
청와대는 오는 2월25일 노무현 대통령의 취임 3주년에 맞춰 제시될 것으로 알려졌던 미래구상의 구체적 혜을 보다 충분한 시간을 갖고 검오키로 하고, 발표 시기를 늦추기로 했다고 19일 밝혔다. 김만수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미래구상은 대통령이 많은 계기에 언급했고 신년연설을 계기로 큰 방향이 제시됐다고 본다"면서 "방법, 혜과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은 좀더 충분한 시간을 갖고 검토하는 것이 좋겠다는 것이 청와대 정책 파트의 판단"이라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따라서 취임 3주년 행사 때 미래구상에 대한 구체적 대책이 발표될 것 같지 않다"며 "오히려 시간을 갖고 검토되면서 구체적인 윤곽이 나올 것으로 보는 게 맞을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미래구상을 국민보고서 내지 책자 형태로 밝히겠다는 대통령의 말씀이 있었지만 3주년에 맞춰 나오기는 어렵지 않겠느냐고 본다"고 덧붙였다. 미래구상 발표연기 배경과 관련, 김 대변인은 "신년연설에서 일종의 의제를 던진만큼 각계의 검토 및 논의내용이 충분히 제기되고 검토되고 책임있게 논의될 필요가 있고. 그 결과물들을 놓고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는 것이 좋겠다는 것"이라며 "충분한 검토가 우선이고, 또 하나는 사회 각계각층에서 책임있는 논의의 경과와 궤를 같이 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대변인은 취임 3주년 행사과 관련, "형식이 아직 결정되지 않았지만 참여정부 3년간 진행된 정치,경제,사회 각 분야에서 진행된 국정운영에 대한 회고와 성찰이 주된 내용이 되고, 아울러 남은 2년간 국정운영의 향후 방향에 대해서도 일정한 언급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김 대변인은 전날 노 대통령 신년연설에 대해 "전체적으로 대통령이 말씀하시고 싶은 주된 메시지가 차분하게 잘 전달됐다는 것이 내부 평가"라고 말했다. 김재현 기자 jahn@yna.co.kr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