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2.21 18:20 수정 : 2005.02.21 18:20

정통일 "방북성사되도록 지원"
라디오출연 "특사는 곤란"

김대중 전 대통령은 21일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초청할 경우 북한을 방문해 여러 현안들을 중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전 대통령은 이날 <문화방송> 라디오 프로그램 ‘손석희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만일 북쪽에서 ‘우리 민족 문제를 상의하기 위해 한번 좀 와주시오’라는 초청이 있으면 갈 수 있다”며 “(다만) 북쪽이, 그것도 김정일 위원장이 초청해야 된다”고 말했다.

김 전 대통령의 이런 발언은 그동안 대북특사론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여왔던 데 견줘, 상당히 진전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김 전 대통령은 “내가 특사로서 가는 것은 합당하지 않다”며 자신의 역할과 임무에 일정한 선을 그었다.

김 전 대통령은 또 “김정일 위원장은 서울을 방문한다는 6·15 공동선언의 약속을 지켜야 한다”며 “서울 오기가 뭐하면 한국, 남쪽 오면 되는 것이니까, 하다못해 도라산에서 만나더라도 만나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에서 답변을 통해, “김 전 대통령의 방북이 성사되도록 관심을 가지고 지원하겠다”고 답변했다. 정 장관은 “김 전 대통령의 언급은 6·15 남북공동선언의 당사자로서 북한의 핵보유 선언 이후 북핵문제를 둘러싼 남북관계가 그만큼 어려워진 상황을 감안해 나온 것으로 본다”며 “정부로서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면 도움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김종민 청와대 대변인도 김 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나라를 걱정하는 충정에 경의를 표한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그러나 대북특사 등 방문형식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사안을 두고 논평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한편, 김 전 대통령은 이날 인터뷰에서 또 “대북송금 특검은 굉장히 잘못한 것”이라며 “국가의 책임자가 최고 기밀사항을 취급해 놓은 것을 그렇게 까발리면 앞으로 어느 나라가 우리를 신뢰하고 대화를 하겠나”라고 2003년 실시한 특검을 강도높게 비판했다. 김 전 대통령은 이어 박지원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 현대로부터 150억원을 받은 혐의로 기소됐다가 무죄판결을 받은 것에 대해서도, “특검의 임무도 아닌 것을 가지고 그렇게 박해를 가했는데 대법원에서 무죄 취지의 판결이 나왔다”며 “이런 것은 굉장히 불행한 일이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김의겸 기자 kyummy@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