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건 전 총리 "북 핵개발 저지에 경협연계" 강경론
노무현 대통령 정부에서 총리와 대통령 권한대행을 지낸 그의 이런 태도는 ‘북핵 해결과 경협은 병행한다’는 현 정부의 태도와는 거리가 있는 것이다. 반면에, 박 대표는 이날 워싱턴 한국 특파원단과의 간담회에서 “미국과 북한 사이의 깊은 불신이 6자 회담 교착상태의 한 원인”이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6자 회담 틀 안에서 6자 회담 전후를 막론하고 북-미간 양자 대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또 “(북한을 뺀 6자 회담의) 5개국이 함께 ‘구체적이고 대담한’ 대북 공동제안을 하자”며 “이는 북한이 핵을 포기하면 이러이러한 것을 해주고, 포기하지 않으면 이렇게 하겠다는 것을 구체화해서 제안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표는 이날 미 국방부에서 도널드 럼스펠드 장관과 만난 자리에서 이런 뜻을 전했다고 밝혔다. 박 대표의 의견은 ‘6자 회담이 재개되면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지만 회담 재개의 유인책으로 사전에 새로운 제안을 내놓을 수 없다’는 미국의 태도와는 다른 것이다.
이와 관련해 임종석 열린우리당 대변인은 17일 논평을 내어, “한나라당이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과 남북 화해협력에 보다 전향적인 자세로 전환할 것이라는 신호로 판단돼 반갑게 생각한다”고 밝혔다.워싱턴/박찬수 특파원, 연합 pcs@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