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3.28 18:40 수정 : 2005.03.28 18:40

민통련 창립 20돌

29일로 창립 20돌이 되는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약칭 ‘민통련’) 출신 정치권 인사들의 면면에 새삼 눈길이 모아지고 있다. 당시 민통련에서 일하며 수시로 감옥을 드나들던 인물들이 20년이 흐른 지금, 정치권을 이끌어가는 주도세력으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노무현 대통령과 이해찬 국무총리, 임채정 열린우리당 의장 등 당·정·청의 최고 수뇌부가 민통련 출신이다. 이밖에 민통련 출신 여야 의원 20여명이 국회에 포진해 있다.

노 대통령은 지난 1987년께부터 부산민주시민운동협의회 상임위원장 자격으로 서울 장충동 분도빌딩 4층 민통련 사무실에 모습을 나타냈다고 한다. 당시 조직국장으로 일했던 이명식씨는 “더벅머리에 고집스러운 표정이었고 말수는 적었다”고 노 대통령을 떠올렸다.

김부겸·이재오 등 30여명 정치 주도세력 부상
“민주화와 통일은 하나다” 실천적 이정표 아직 유효

민통련 출범 당시 서른셋의 ‘청춘’이던 이해찬 총리는 정책실장을 맡아 이미 ‘정책통’으로 명성을 떨쳤다. 그의 뱃심과 기세에 눌려 경찰들조차 그와는 얼굴을 마주치지 않으려 했다고 한다. 임채정 열린우리당 의장은 87년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사무처장을 맡았다.


김근태 보건복지부 장관은 민주화운동청년연합 의장을 하다 구속된 뒤, 88년에 합류했다. 장영달 의원은 총무국장으로, 김부겸 원내수석부대표는 정책팀장으로, 정봉주 의원은 간사로 일했다. 최규성 열린우리당 사무처장은 무역업을 하며 활동비를 조달했다. 이밖에 김태홍·이호웅·유시민·안영근·유기홍·김현미·이광철·노영민·강기정 의원 등이 지역·부문운동을 하며 민통련과 인연을 맺었다. 청와대의 문재인 민정수석과 이강철 시민사회수석, 이호철 제도개선비서관, 장준영 시민사회1비서관 등도 산하조직 등에 참여해, ‘민통련 사람’으로 분류된다.

이밖에 한나라당의 이재오 의원은 통일위원장으로, 박계동 의원은 조직국장으로 일했다. 민통련 가입단체인 서노련을 이끌던 김문수 한나라당, 심상정 민주노동당 의원과, 농민운동을 했던 강기갑 민주노동당 의원도 광의의 ‘민통련 사람’들이다.

민통련은 ‘민주화와 통일은 하나다’라는 기치를 내걸고 1985년 3월29일 25개 운동단체의 연합 조직으로 출범했다. 이후 숱한 대중집회를 조직하며 이듬해 6월항쟁의 산파역을 하다, 89년 1월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전민련) 결성과 함께 해체됐다. 김종철 전 민통련 대변인은 “민통련이 지향하던 바가 지금도 여전히 실천의 이정표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임석규 기자 sky@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