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화와 통일은 하나다” 실천적 이정표 아직 유효
민통련 출범 당시 서른셋의 ‘청춘’이던 이해찬 총리는 정책실장을 맡아 이미 ‘정책통’으로 명성을 떨쳤다. 그의 뱃심과 기세에 눌려 경찰들조차 그와는 얼굴을 마주치지 않으려 했다고 한다. 임채정 열린우리당 의장은 87년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사무처장을 맡았다.
김근태 보건복지부 장관은 민주화운동청년연합 의장을 하다 구속된 뒤, 88년에 합류했다. 장영달 의원은 총무국장으로, 김부겸 원내수석부대표는 정책팀장으로, 정봉주 의원은 간사로 일했다. 최규성 열린우리당 사무처장은 무역업을 하며 활동비를 조달했다. 이밖에 김태홍·이호웅·유시민·안영근·유기홍·김현미·이광철·노영민·강기정 의원 등이 지역·부문운동을 하며 민통련과 인연을 맺었다. 청와대의 문재인 민정수석과 이강철 시민사회수석, 이호철 제도개선비서관, 장준영 시민사회1비서관 등도 산하조직 등에 참여해, ‘민통련 사람’으로 분류된다. 이밖에 한나라당의 이재오 의원은 통일위원장으로, 박계동 의원은 조직국장으로 일했다. 민통련 가입단체인 서노련을 이끌던 김문수 한나라당, 심상정 민주노동당 의원과, 농민운동을 했던 강기갑 민주노동당 의원도 광의의 ‘민통련 사람’들이다. 민통련은 ‘민주화와 통일은 하나다’라는 기치를 내걸고 1985년 3월29일 25개 운동단체의 연합 조직으로 출범했다. 이후 숱한 대중집회를 조직하며 이듬해 6월항쟁의 산파역을 하다, 89년 1월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전민련) 결성과 함께 해체됐다. 김종철 전 민통련 대변인은 “민통련이 지향하던 바가 지금도 여전히 실천의 이정표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임석규 기자 sky@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