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이 중국을 찾아 대북 메시지를 전했고, 그 직후 방중한 박 총리가 이를 받아 평양에 타전했고, 그에 대한 분석을 마친 후에 강 부상이 중국을 찾았다는 것은 뭔가 중요한 결정을 하기 위한 절차 아니었겠느냐는 것. 통상 중국은 북-중 협의후 1∼2일 내로 그 내용을 우리 정부에 통보하며 ‘복잡한’ 사정이 있을 경우 통보가 그보다 훨씬 늦어질 수 있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정부 당국자는 ‘강 부상의 방중으로 6자회담 재개전망이 밝아졌느냐’는 질문에 “현재로서는 알 수 없다”며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적어도 외교채널을 통해 강 부상과 중국 간의 협의 내용을 받아봐야 ‘감’(感)을 잡을 수 있을 것이라는 얘기다. 사실 정부 내에서도 관측이 엇갈린다. 낙관론을 제시하는 측에서는 강 부상이 직접 중국을 방문한 것 자체가 북한의 ‘전략적 선택’이 임박했다는 것이며 북한이 회담 복귀를 위해서는 조건과 명분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하면서도 6자회담의 유용성을 부인하지 않고 있다는 점을 논거로 들고 있다. 또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주석의 4∼5월 북한 답방설도 낙관론에 무게를 더해주고 있다. 후 주석이 방북하려면 그 전에 최대 현안인 6자회담과 관련해 청신호가 켜져야 하지 않겠느냐는 것. 그러나 비관론도 만만치 않다. 북한이 지난 달 31일 외무성 대변인 성명을 통해 6자회담은 군축회담이 돼야 한다고 주장한 것은 핵심 당사자인 미국이 ‘받지 못할’ 카드를 던진 것으로 회담에 복귀하지 않겠다는 애드벌룬이라는 해석이 그 것이다. 정부는 그러나 지금 예단은 금물이며 향후 중국의 입장을 들어보고 향후 입장을 정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특히 오는 11일로 예정된 북한 최고인민회의를 주목하고 있다. 지난 달 4일 개최하려다 이달 11일로 미룬 속사정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최고인민회의의 내용과 형식을 보면, 북한의 입장을 가늠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최고인민회의에서 장기 표류 중인 핵문제와 관련해 ‘우리 갈 길을 간다’는 식의 결연한 의지 표명과 내부단속이 있을 경우 이는 6자회담 개최를 열망하는 국제사회의 흐름에 강성기조로 맞서려 한다는 의지로 해석될 가능성도 있다. 이와는 달리 조류독감 또는 어려운 경제상황 등의 다른 이슈와 연관된 행사가된다면 나름대로 국제사회에 대한 유화책으로 볼 수 있는 측면이 있다는 견해도 나오고 있다. 다른 정부 당국자는 “중요한 국면에 접어든 것은 사실이나 낙관도 비관도 할 수 없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
강석주 방중후 귀국‥북 행보 주목 |
강석주(姜錫柱) 북한 외무성 제1부상이 중국 방문을 마치고 5일 평양으로 돌아옴에 따라 북핵 6자회담 재개와 관련, 향후 북한이 어떤 입장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강 부상은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직통하고 있는 ‘실질적인’ 북핵문제 사령탑으로, 박봉주 내각 총리의 중국 방문 이후 그의 방중이 이뤄졌다는 점에서 현재 장기 교착상태인 6자회담의 향방을 가르는 고비가 될 것으로 보인다.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이 중국을 찾아 대북 메시지를 전했고, 그 직후 방중한 박 총리가 이를 받아 평양에 타전했고, 그에 대한 분석을 마친 후에 강 부상이 중국을 찾았다는 것은 뭔가 중요한 결정을 하기 위한 절차 아니었겠느냐는 것. 통상 중국은 북-중 협의후 1∼2일 내로 그 내용을 우리 정부에 통보하며 ‘복잡한’ 사정이 있을 경우 통보가 그보다 훨씬 늦어질 수 있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정부 당국자는 ‘강 부상의 방중으로 6자회담 재개전망이 밝아졌느냐’는 질문에 “현재로서는 알 수 없다”며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적어도 외교채널을 통해 강 부상과 중국 간의 협의 내용을 받아봐야 ‘감’(感)을 잡을 수 있을 것이라는 얘기다. 사실 정부 내에서도 관측이 엇갈린다. 낙관론을 제시하는 측에서는 강 부상이 직접 중국을 방문한 것 자체가 북한의 ‘전략적 선택’이 임박했다는 것이며 북한이 회담 복귀를 위해서는 조건과 명분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하면서도 6자회담의 유용성을 부인하지 않고 있다는 점을 논거로 들고 있다. 또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주석의 4∼5월 북한 답방설도 낙관론에 무게를 더해주고 있다. 후 주석이 방북하려면 그 전에 최대 현안인 6자회담과 관련해 청신호가 켜져야 하지 않겠느냐는 것. 그러나 비관론도 만만치 않다. 북한이 지난 달 31일 외무성 대변인 성명을 통해 6자회담은 군축회담이 돼야 한다고 주장한 것은 핵심 당사자인 미국이 ‘받지 못할’ 카드를 던진 것으로 회담에 복귀하지 않겠다는 애드벌룬이라는 해석이 그 것이다. 정부는 그러나 지금 예단은 금물이며 향후 중국의 입장을 들어보고 향후 입장을 정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특히 오는 11일로 예정된 북한 최고인민회의를 주목하고 있다. 지난 달 4일 개최하려다 이달 11일로 미룬 속사정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최고인민회의의 내용과 형식을 보면, 북한의 입장을 가늠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최고인민회의에서 장기 표류 중인 핵문제와 관련해 ‘우리 갈 길을 간다’는 식의 결연한 의지 표명과 내부단속이 있을 경우 이는 6자회담 개최를 열망하는 국제사회의 흐름에 강성기조로 맞서려 한다는 의지로 해석될 가능성도 있다. 이와는 달리 조류독감 또는 어려운 경제상황 등의 다른 이슈와 연관된 행사가된다면 나름대로 국제사회에 대한 유화책으로 볼 수 있는 측면이 있다는 견해도 나오고 있다. 다른 정부 당국자는 “중요한 국면에 접어든 것은 사실이나 낙관도 비관도 할 수 없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이 중국을 찾아 대북 메시지를 전했고, 그 직후 방중한 박 총리가 이를 받아 평양에 타전했고, 그에 대한 분석을 마친 후에 강 부상이 중국을 찾았다는 것은 뭔가 중요한 결정을 하기 위한 절차 아니었겠느냐는 것. 통상 중국은 북-중 협의후 1∼2일 내로 그 내용을 우리 정부에 통보하며 ‘복잡한’ 사정이 있을 경우 통보가 그보다 훨씬 늦어질 수 있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정부 당국자는 ‘강 부상의 방중으로 6자회담 재개전망이 밝아졌느냐’는 질문에 “현재로서는 알 수 없다”며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적어도 외교채널을 통해 강 부상과 중국 간의 협의 내용을 받아봐야 ‘감’(感)을 잡을 수 있을 것이라는 얘기다. 사실 정부 내에서도 관측이 엇갈린다. 낙관론을 제시하는 측에서는 강 부상이 직접 중국을 방문한 것 자체가 북한의 ‘전략적 선택’이 임박했다는 것이며 북한이 회담 복귀를 위해서는 조건과 명분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하면서도 6자회담의 유용성을 부인하지 않고 있다는 점을 논거로 들고 있다. 또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주석의 4∼5월 북한 답방설도 낙관론에 무게를 더해주고 있다. 후 주석이 방북하려면 그 전에 최대 현안인 6자회담과 관련해 청신호가 켜져야 하지 않겠느냐는 것. 그러나 비관론도 만만치 않다. 북한이 지난 달 31일 외무성 대변인 성명을 통해 6자회담은 군축회담이 돼야 한다고 주장한 것은 핵심 당사자인 미국이 ‘받지 못할’ 카드를 던진 것으로 회담에 복귀하지 않겠다는 애드벌룬이라는 해석이 그 것이다. 정부는 그러나 지금 예단은 금물이며 향후 중국의 입장을 들어보고 향후 입장을 정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특히 오는 11일로 예정된 북한 최고인민회의를 주목하고 있다. 지난 달 4일 개최하려다 이달 11일로 미룬 속사정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최고인민회의의 내용과 형식을 보면, 북한의 입장을 가늠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최고인민회의에서 장기 표류 중인 핵문제와 관련해 ‘우리 갈 길을 간다’는 식의 결연한 의지 표명과 내부단속이 있을 경우 이는 6자회담 개최를 열망하는 국제사회의 흐름에 강성기조로 맞서려 한다는 의지로 해석될 가능성도 있다. 이와는 달리 조류독감 또는 어려운 경제상황 등의 다른 이슈와 연관된 행사가된다면 나름대로 국제사회에 대한 유화책으로 볼 수 있는 측면이 있다는 견해도 나오고 있다. 다른 정부 당국자는 “중요한 국면에 접어든 것은 사실이나 낙관도 비관도 할 수 없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