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4.17 09:56 수정 : 2005.04.17 09:56

북한이 '6.15공동선언 실천을 위한 북ㆍ남ㆍ해외공동행사' 북측 준비위원회에 언론분과위원회를 두고 위원장에 김성국 조선기자동맹위원장을 임명함에 따라 남북간 언론교류가 본격화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북측 준비위에는 박진식 통일신보 주필, 원철운 조선중앙통신 간부, 홍동철 민주조선 부주필, 한응희 민족대단결지 편집장 등 5∼6명의 언론계 인사가 포함돼 이들이 언론분과위원으로 활동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남북간 언론교류가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은 1990년 독일 통일 이후. 1991년에는남북상호 특파원 상주를 염두에 두고 연합뉴스가 기자 2명을 평양주재원으로 내정했으나 여전히 미완의 과제로 남아 있다.

지난 92년 발효된 남북기본합의서에서 신문ㆍ방송ㆍ출판물의 상호교류와 협력이규정돼 있으나 다른 분야와는 달리 언론 분야의 교류협력은 안타까울 정도로 답보상태를 벗어나지 못했다.

그러다 2000년 남북 정상회담 이후 언론교류에도 서광이 비치기 시작했다.

같은해 8월 남측 언론사 사장단이 북한을 방문,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만나고 북측 언론기관 대표들과 남북언론접촉창구 마련 등 5개항에 합의했다.

당시 양측은 남측이 `남북 언론교류협력 위원회'를 조속히 구성, 북측의 조선기자동맹 중앙위원회와 교류협력에 관련된 연락ㆍ협의 업무를 수행키로 합의했다.

그러나 이같은 합의의 이행은 지지부진한 상태를 면치 못했다.


남측에서 언론교류협력위원회를 구성하긴 했으나 말 그대로 유명무실한 실정이다.

다만 한국기자협회가 독자적으로 나서 조선기자동맹과 몇 차례 공식ㆍ비공식 접촉을 가져왔던 것은 특기할 만하다.

남측 당국의 비협조로 성사되지는 못했지만 북측은 분단 이후 처음으로 2002년 기자협회에 방북 초청장을 보내기도 했었다.

이번에 북측이 언론분과위를 설치한 것도 기자협회의 꾸준한 노력에 의한 결실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남북 정상회담 이후 언론교류는 그 전보다 활발해졌다고는 하지만 아직도 일회성, 비공식적 수준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연합뉴스가 2002년 조선중앙통신과 계약을 맺고 중앙통신 기사를 수신 전달하는 것이 교류다운 교류 사례라고 할 수 있을정도로 빈약한 상황이다.

따라서 북측이 이번에 언론분과를 둔 것은 공식적이고 본격적인 언론교류 의지를 나타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언론교류에 소극적이라는 인상을 줘 왔던 북측이 이번에 언론 분과위 설치라는용단을 내린 만큼 이제는 남측 언론계가 적극 호응해야 한다는 지적들이 나오고 있다.

정부 당국자도 "일단 남측의 각급 언론단체와 각 언론사들이 기구를 구성해 북측과 마주 앉는 것이 중요하다"며 "협의내용에 따라서 정부의 협조가 필요한 부분은도와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