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외무성은 25일 미국이 핵문제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회부할 경우 이를 선전포고로 간주할 것임을 밝혔다. 외무성 대변인은 이날 <조선중앙통신사> 기자의 질문에 답하는 형식을 통해, 콘돌리자 라이스 미국 국무장관이 북핵문제의 유엔 안보리 회부 가능성을 언급한 것과 관련해, “미국이 핵문제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끌고가고 싶으면 가보라”며 “우리는 제재를 곧 선전포고로 간주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변인은 “6자 회담 참가를 위한 조건과 명분이 아직 마련되지 않았다”며 “6자회담 개최를 위해 미국은 하루 빨리 ‘폭정의 전초기지’ 발언을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사생결단의 의지를 가지고 모든 것에 대비할 만반의 준비가 돼 있으며, 제재에 대처할 대응안을 다 마련해 놓고 있다”며 “우리는 그토록 커다란 곤란을 스스로 감수하면서 품을 들여 핵 억제력을 마련해 놓았다”고 강조했다. 또 “라이스의 입에서 어떤 소리가 나오든 우리는 편안하다”며 “우리는 결정적 순간에 자기 할 바를 알고 있으며 미국의 강경에는 끝까지 초강경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민순-힐 차관보 “한-미 6자회담 재개 협력”
대변인은 6자 회담 참가 조건과 관련해, “(미국이) 공중에 대고 ‘주권국가’라고 한마디 던진 것을 믿고 우리더러 일방적으로 회담에 나오라는 것은 강도적 요구에 불과하다”며 “우리는 ‘폭정의 전초기지’와 같은 더러운 오명을 쓰고 결코 회담에 나갈 수 없으며 미국과 어떤 형식으로든 상종도 할 수 없다”고 못박았다. 그러나 한국과 미국은 북한의 6자 회담 복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시점이 임박했다고 보고, 회담을 재개하기 위한 관련국들의 막판 노력이 가시적인 결실을 거둘 수 있도록 힘을 모으기로 했다. 두 나라의 6자 회담 수석대표인 송민순 외교통상부 차관보와 크리스토퍼 힐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는 이날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6자 회담 재개와 회담의 실질적 진전을 위한 방안을 협의하고, 이렇게 의견을 모았다. 정부 당국자는 “북핵 문제에서 중요한 것은 회담 재개가 아니라, 회담을 재개했을 때 실질적 진전을 이루는 것”이라며 “양국은 회담 재개를 위한 관련국들의 노력이 가시적이고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오도록 협력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힐 차관보는 협의를 마친 뒤 기자들에게 “양국은 북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최선의 전술에 합의했다”며 “지금 북한이 해야 할 일은 회담에 빨리 돌아오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유강문 기자 moon@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