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5.18 19:14 수정 : 2005.05.18 19:14

남북은 개성 자남산여관에서 18일 오전까지 이어진 차관급 회담에서 6월 중 서울에서 15차 장관급 회담을 여는 등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한 대화를 재개한다는 데 대체로 의견이 접근했다. 그러나 한반도 비핵화와 6자 회담 재개를 강조한 남쪽 의견이 공동보도문에 담길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밤샘 협상을 벌인 이봉조 남쪽 수석대표(통일부 차관)는 이날 오전 수석대표 접촉을 마친 뒤, “원칙적으로 의견 접근이 이뤄졌으나, 최종 합의에는 이르지 못했다”며 이렇게 밝혔다. 이에 따라 남북은 애초 16, 17일 이틀로 예정했던 차관급 회담을 19일 다시 열어 최종 합의를 위한 절충을 계속하기로 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핵 문제는 여전히 어려운 문제로 남아 있다”며 “합의를 못 본 게 장관급 회담의 일정 등에 큰 이견이 있기 때문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외견상 밤샘 협상 등 과거의 회담 패턴을 반복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북한의 협상자세는 매우 진지했다”고 덧붙였다.

이봉조 수석대표는 “핵 문제와 관련해 우리 쪽은 기조발언과 여러 차례 접촉을 통해 입장을 충분히 북쪽에 전달했다”며 “우리는 북핵을 용납할 수 없으며, 한반도 비핵화 원칙이 지켜지지 않으면 남북 화해·협력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명백히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민족 공동의 안정과 번영을 위해서는 북핵 문제가 조기에 해결돼야 하며, 이를 위해서라도 6자 회담이 이른 시일 안에 열려 실질적 진전을 이뤄야 한다는 점을 누차 강조했다”고 말했다.

이 차관은 또 북쪽이 요구한 봄철 비료 20만t 지원에 대해선 “가급적 6월 중순까지는 지원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육로와 해로를 모두 이용할 방침이며, 필요하다면 북쪽 선박을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육로 수송은 대부분 자동차를 이용하는 것으로 의견이 모아져, 남쪽이 제의한 경의선 열차 활용안은 확정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 밖에 남쪽이 제기한 이산가족 상봉행사와 경의·동해선 도로 연결행사 및 철도 시범운행 문제는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이들 문제는 남북이 원칙적 합의를 한다면 장관급 회담 등 대화의 틀이 복원된 뒤 다룰 수 있는 문제여서, 19일 회담의 걸림돌이 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북쪽의 식량 지원 요청도 협상의 진전에 따라 원칙 합의 뒤 남북경제협력추진위에서 논의할 문제로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남북은 애초 17일 오후 4시께 공식 회담일정을 마칠 예정이었지만, 핵 문제 등을 놓고 자정을 넘겨 밤샘 협상을 벌였다. 18일 오전 다시 만난 남북은 북핵 문제를 뺀 나머지 쟁점 현안에 대해선 원칙적인 합의를 이뤘지만, 회담 일정 등 구체적인 내용을 확정짓지 못해 회담을 하루 연장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다.개성/공동취재단,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