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 ‘장관급회담 등 합의’ 차분한 보도 |
지난 16∼19일 개성에서 열린 남북 차관급 회담에 대한 북한의 보도는 대체로 사실을 충실히 전달한 것으로 평가된다. 과거 남북회담에서 비공개 원칙을 깨고 관영매체를 통해 자신들의 기조발언을 미리 공개함으로써 회담 진행을 뒤흔들어 놓기도 했던 것과는 다른 태도다.
<중앙통신>은 회담 마지막날인 19일 공동보도문 채택 사실을 전하면서, 6·15 공동선언 5돌을 계기로 평양에서 열리는 민족통일대축전에 남쪽이 장관급을 단장으로 하는 당국 대표단을 파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6월21일부터 24일까지 서울에서 15차 남북 장관급 회담을 열기로 합의했다는 것도 사실 그대로 보도했다. 그러나 남쪽의 비료 지원에 대해선 “인도주의와 동포애적 입장에서 협력사업을 적극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고만 보도했다.
재일본 조선인총연합회(총련) 기관지 <조선신보> 인터넷판은 20일 남북 차관급 회담을 실무회담으로 부르며, 남북대화 재개가 남북 당국 간 관계정상화를 의미하진 않는다고 다소 냉담한 분석을 내놓았다. <조선신보>는 이번 회담이 지난해 7월 이후 단절된 남북 당국 간 관계 회복 의지를 확인하는 자리였다고 평가하면서도 “대화의 재개라는 형식을 갖추는 것이 곧 북남 당국 관계정상화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신문은 “핵무기 보유는 용납할 수 없다며 남측이 6자 회담 재개를 위한 북측의 노력을 일방적으로 강조하는 것만으로는 현 사태를 타결할 수 없다”며 “북과 남이 동족의식을 발휘해 미국의 정책 전환을 강력히 촉구해야 길은 열린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연합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