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5.20 18:29 수정 : 2005.05.20 18:29

정부 대표단·정치인만 해도 100명 ‘훌쩍’
6·15 방북단 50명 배정…민간 615명 예상

남북 차관급회담에서 6·15 공동선언 5돌 기념 평양 민족통일대축전에 남쪽에서 장관급 당국 대표단을 보내기로 합의함에 따라, 정부는 20일 남북회담사무국을 중심으로 실무협의 준비에 들어갔다.

통일부 당국자는 “공동보도문에 나온 대로 대표단장의 ‘급’을 장관급으로 하고, 단장을 정동영 통일부 장관으로 한다는 방침 이외에 어떤 것도 결정된 바 없다”고 말했다. 당국 차원에서 6·15 기념 평양행사에 참가하는 것은 처음이라는 점에서 선례도 없다. 참여형식도 문제다. 북쪽은 정부 및 제정당 사회단체 연석회의 등의 형식이 있으며 민·관의 구분도 없지만, 남쪽은 다르다. 그런 점에서 이번 6.15 실무협의는 새로운 차원의 남북 교류로 기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오는 6월14∼17일 평양에서 열리게 될 이번 통일대축전은 개막식에 앞서 참석자들이 천리마동산에서 김일성경기장까지 1㎞ 행진을 벌이는 것으로 시작된다. 개막식은 5만여명을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김일성경기장에서 열리게 되며, 수만명의 평양시민들이 참관할 전망이다. 행사기간 동안 남과 북은 노동·농민·청년학생·학술 등 모두 12개 분야로 나눠 분야별 개별상봉에 나서게 되며, 각종 공연과 체육경기, 공동사진전 등 다양한 부대행사를 펼친다. 그밖에도 개선문과 동명왕릉·만수대창작사 등을 관람하며, 폐막식은 17일 정주영체육관에서 열릴 예정이다.

이를 위해 남과 북은 지난 3월5일 금강산에서 ‘6·15 공동선언 실천을 위한 남북·해외 공동행사 준비위원회’(이하 공준위)를 구성하고, 민간 차원에서 행사준비를 해왔다. 하지만 이번 차관급회담에서 당국 차원의 대표단 파견이 결정됨에 따라, 인적구성은 물론 행사 자체에도 적지 않은 변화가 예상된다.

애초 공준위는 지역·부문별로 선발한 615명의 민간대표단을 파견하기로 했다. 여기에는 행사 지원을 위한 정부요원도 20∼30명 가량 포함돼 있다. 또 지난 4월 북쪽의 요청에 따라, 2000년 6·15 남북정상회담 당시 평양을 방문했던 인사들의 모임인 ‘주암회’에도 따로 50여명의 인원이 배정됐다는 게 공준위 관계자의 말이다.

또 공준위에 참여하고 있는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임원 직책을 가진 국회의원 20명 가운데 상당수도 이미 행사참여를 결정한 상황이어서, 정부의 공식 대표단과 국회의원 ·정치인 등 ‘비공식 대표단’을 합칠 경우 100명선을 쉽게 넘어설 것이란 지적이다. 한 정부 당국자는 “북쪽으로서도 판이 이렇게 커질 것은 예상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