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6.01 19:26 수정 : 2005.06.01 19:26

북, 6·15방북단 축소요청 파문
정부·민간단체 “행사하자는 건지”

“도대체 행사를 하자는 건지, 말자는 건지 ….”

1일 북한이 6·15 공동선언 5돌 기념 평양 민족통일대축전 행사를 불과 보름 앞두고 일방적으로 방북단 규모의 축소를 요청하자, 정부와 남쪽 단체들은 일대 혼란에 빠졌다. 느닷없는 북쪽의 요구에 반발하는 기세도 역력하다.

민족화해협력 범국민협의회(민화협), 7대 종단, 통일연대 등 행사 관련 민간단체들은 이날 오후 긴급 대책회의를 열어, 애초 계획대로 행사를 치르자는 뜻을 북에 전달하기로 했다. 이미 민간 참가단 수송을 위해 전세기 두 대를 예약해 뒀고, 참가 경비까지 받아 둔 상태여서 북쪽의 요구를 받아들이기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

민간단체 관계자들은 ‘새로운 난관이 조성됐다’는 북쪽 주장을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미국이 F-117 스텔스 전폭기 15대를 한국에 배치하기로 결정하고, 한국전 당시 미군 실종자 유해발굴 작업을 중단한 것 등은 북쪽으로선 문제가 될 수 있더라도 행사 축소의 명분은 될 수 없다는 것이다. 민간 쪽에선 이미 지난 3월 초부터 남·북 및 국외 참가단이 공동준비위원회를 구성해 행사 준비를 해 왔다.

이에 따라 민간단체 쪽은 오는 4~7일 평양에서 열릴 예정인 통일대축전 최종 실무협의에서 애초대로 행사를 열 것을 북쪽에 촉구할 것으로 전해졌다. 한 민간단체 관계자는 “처음 소식을 접했을 땐 아예 행사를 하지 말자는 것 아니냐며 분통을 터뜨리는 이들도 상당수였다”며 “정세가 어렵게 가고 있다면, 그럴수록 성대하게 행사를 열어 남과 북이 하나가 되는 모습을 보여야 하는 것 아니냐”고 강조했다.

세 차례에 걸친 실무협의 끝에 지난달 28일에야 당국 대표단 규모와 일정에 합의한 정부도 ‘황당’하기는 마찬가지다. 이번 6·15 행사는 북핵 문제 등으로 가뜩이나 위태롭게 느껴지는 한반도의 이른바 ‘6월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남북이 머리를 맞대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됐다. 북한의 대표단 축소 요청은 이런 기대에 찬물을 끼얹은 것이다.

이런 분위기에선 ‘북-미 대립 등 위기로 치닫는 상황에서 남북이 할 수 있는 일이 뭐가 있겠느냐’는 회의론이 확산될 수밖에 없어 보인다. 일부에선 오는 10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노무현 대통령이 북핵 문제를 놓고 조지 부시 대통령에게 할 수 있는 말이 많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를 하고 있다. 정부 내에서 “기존 합의를 무시한 이런 요청엔 단호한 자세를 보여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강태호 정인환 기자 kankan1@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