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6.05 19:01 수정 : 2005.06.05 19:01

세계식량계획 경고…“재고 고갈·구호 지지부진”

북한이 1990년대 중반 겪었던 최악의 식량난을 다시 겪을지도 모른다는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 북한 핵 문제가 진전을 보지 못하는 상황에서 국제사회의 식량 지원도 사실상 끊긴 상태여서, 10년 만에 북한 식량난이 다시 국제사회의 현안으로 떠오를 조짐이다.

세계식량계획(WFP)은 4일 긴급 보고를 통해, “북한이 지난해 작물 수확분이 고갈되면서 춘궁기에 접어들었다”며 “앞으로 몇 달 안에 어린이와 노인, 임산부 등 취약 계층이 심각한 식량난에 직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이 운영하는 사이트 ‘릴리프웹’에 올라온 이 보고를 보면, 이들 취약 계층 가운데 일부는 지난 4월부터 이미 식량을 지원받지 못하고 있다.

이들 취약 계층은 특히 7·1 경제관리 개선 조처 이후 식량 가격이 급등한 데다 공공배급제에 의한 식량 공급도 여의치 않아 이중고를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식량계획은 “최근 이들 취약 계층은 곡물과 채소가 3대7로 섞인 죽을 먹고 있다”며 “그나마 재고가 없어 식량 지원을 중단할 수밖에 없는 처지”라고 말했다.

앞서, 국내외 비정부기구와 유엔 구호기구 관계자들은 지난달 말 중국 베이징에서 대북 식량 지원과 관련한 국제회의를 4년 만에 열어 국제사회의 지원을 호소하는 공동선언문을 채택했다. 국제 가톨릭 구호단체인 카리타스의 캐시 젤웨거 국제협력국장은 회의를 마친 뒤 기자회견을 열어 “북한은 해마다 500만∼550만t의 식량을 필요로 하는데, 현재 200만t 가량이 부족하다”며 “올해 날씨가 좋지 않아 파종 시기가 늦어진 데다 농약이 부족해 식량 생산마저 저조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그러나 국제사회의 지원은 지지부진한 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다. 국제사회는 96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북한에 23억2431만달러를 지원했으나, 북핵 및 일본인 납치 문제가 불거진 이후 미국과 일본이 소극적 자세로 돌아서면서 지원 식량 확보에 애를 먹고 있다. 특히 미국은 지난해 12월부터 지난 4월에 걸쳐 세계식량계획을 통해 5만t을 지원한 뒤 새로운 지원 계획을 확정하지 않고 있다. 국제사회의 지원이 남아시아 지진해일 피해 지역에 쏠린 것도 북한으로선 악재라는 분석도 있다.

북한은 이에 따라 주민들에게 총동원령을 내리는 등 식량 확보에 전력을 쏟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평양의 한 국제구호기관 관계자는 “요즘 전국에서 수백만 인력이 농촌에 투입되고 있다”며 “이는 예년에 비해 많은 숫자”라고 말했다.

유강문 기자, 연합 moo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