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6.08 14:56 수정 : 2005.06.08 14:56

외교당국자 "뉴욕접촉, 실제로 합의된 것은 없어"

오는 10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열릴 한미 정상회담에서 양국 정상은 북한의 핵무기 보유 불용과 북핵 문제의 평화적.외교적 해결 원칙을 재확인하고 북핵 문제의 해결을 위한 방안을 심도있게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8일 낮 언론사 외교 담당 데스크 오찬간담회에서 이 같이 말하고 "두 정상이 북핵 문제의 평화적.외교적 해결 원칙에 변함이 없다는 점을 북한이더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이 당국자는 그러나 `한미 정상회담에서 노무현 대통령이 새로운 대북인센티브를 제안할 것'이라는 미국언론의 보도에 대해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일축했다.

그는 특히 한미정상회담에서 유엔 안보리 회부나 대북 제재 거론 가능성과 관련,"양국 모두 그런 문제를 논의할 시점이 아니라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북미 뉴욕접촉과 관련, 그는 "대결적 분위기라기 보다는 건설적 분위기에서 진행됐으나 실제로 합의된 것은 없다"며 "북한으로서는 미국의 입장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데 의미가 있었을 것이다. 공은 아직 북한의 코트(court)에 가 있다"고 전했다.

이 당국자는 "미국에서는 `미스터'라고 부르는 것은 굉장한 존칭"이라며 "북한도 부시 대통령이 `미스터 김정일'로 부른 의미를 잘 알고 있을 것이며, 미국내 정부 인사들도 (부시 대통령의) 그런 언급을 의식하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이 당국자는 `한미정상회담이 북한의 태도 결정과 관계가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본다"며 "북한도 한미 정상회담 결과를 주목할 것이고 한미도 북한에게 어떤 메시지를 전할 지 염두에 두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제4차 6자회담 재개시 실질적 진전방안과 관련, 이 당국자는 "과거보다 더 진지하고 결과를 생산할 수 있는 회담이 되도록 하기 위해 관련국간에 실질적 의견을 교환했으며 교감도 되어 있다"고 밝혔다.

그는 6자회담 재개시 협상 방식과 관련, "6자회담의 틀을 유지하면서 실질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며 "그동안 세 차례 회담과 같은 방식으로는 진지한 협상과 실질적인 진전이 이뤄질 것으로 생각하는 나라는 6개국 중 아무도 없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주한미군 유연성이나 개념계획 5029 문제의 거론 가능성을 시사한 뒤 "실무선에서 보든 대통령께서 보든 우리 정부의 입장은 한반도와 동북아의 미래는 한미동맹에 굳건하게 기반하고 그 것을 기초로 해서 다져 나간다는 것"이라며 "큰 틀에서 한미동맹의 장래 비전을 공유하는 노력이 양 정상간에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