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7.13 22:35 수정 : 2005.07.14 11:22

부존량 남쪽의 10배…경협 ‘0순위’ 민간기업 북한 출입 장치 마련돼야

남북한 경제협력추진위원회가 자원과 자본, 기술 등을 결합한 새로운 방식의 경제협력 사업을 추진하기로 함에 따라 북한이 제시할 자원개발 분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남북이 당장 손을 잡을 수 있는 분야는 광물 채굴과 탄광 개발 두 가지다. 북한에는 지하자원만 300여종이 넘으며, 이 가운데 유용한 광물은 200여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특히 철, 아연, 흑연, 석탄, 마그네사이트 등은 매장량이 풍부하지만 채굴 기술과 자금 부족으로 제대로 캐내지 못해왔다.

현재 대한광업진흥공사가 개성 부근의 정촌에서 북한과 공동개발 중인 흑연광산은 남쪽의 기술과 자본, 북쪽의 노동력과 자원이 결합된 본보기 사업으로 꼽힌다. 지난 2003년 남북 시범사업으로 채택돼 지난해 3월 광산개발에 본격 착수했으며, 현재 짓고 있는 광물 선별공장이 완공되는 11월 이후에는 생산 제품이 남쪽에 반입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광진공은 비교적 경제성이 큰 철, 금, 마그네사이트, 아연, 납 등을 공동으로 개발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남쪽에서는 거의 해외 수입에 의존하는 것들이다. 전문가들은 북한에 묻혀 있는 금속광물의 경우 현재 개발 가능한 부존량이 남쪽의 최소 10배를 웃돌 것으로 추정한다. 광진공의 김용범 남북자원협력팀장은 “북한의 현실로 봐서는 경협 확대가 필연적인데, 광산물 공동 개발이 성공리에 진행되면서 다른 분야로 공동개발이 확산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광진공은 남북 경협확대 조처로 여러 곳에서 광산 개발이 이뤄질 것에 대비해 이를 총괄하는 현장사무소 설치를 검토하고 있다. 한국석탄공사도 북쪽의 공동개발 제의를 주시하고 있다. 석탄공사 관계자는 “북쪽이 경제성이 있는 탄광을 공동 사업으로 제시할 지는 두고봐야 한다”며 “전문 기술진이 가서 현장을 확인하고 사업의 타당성을 조사하려면 지질도와 탄광 도면 등의 기초 자료를 넘겨받는 것이 급선무”라고 말했다.

산업계는 아직 구체적인 추진 계획을 마련하지 못하면서도 남북 경협이 탄력을 받게 된 데 기대감을 나타냈다. 박윤환 무역협회 남북교역팀장은 “자원 개발에 참여하려면 실태 조사부터 해야하는데 민간기업이 북한에 들어가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면서, “불확실성을 제거할 제도적 장치가 먼저 마련돼야 기업들이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