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5.07.14 20:01
수정 : 2005.07.14 20:08
라이스 “북 인권·군비·미사일도 외교적 접근”
콘돌리자 라이스 미국 국무장관은 13일(현지시각) “인권이나 재래식 군비, 미사일 기술 확산 등 북한 체제의 (핵 이외의) 다른 문제들에 대해 우리가 우려를 갖고 있다는 건 비밀이 아니다”라며 “우리는 이런 문제들도 외교적으로 접근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고 말했다.
라이스 장관은 이날 아시아 순방을 마치고 워싱턴으로 돌아오는 길에 기자간담회를 열어 이렇게 밝혔다. 그는 또 “6자 회담의 목표는 한반도 비핵화이어야 하며, 여기에는 고농축 우라늄 프로그램도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북한은 먼저 비핵화 선언을 한 뒤 실제적인 행동을 보여야 할 것”이라며 “미국은 다른 동료 국가들과 함께 북한이 어떻게 그 일을 할 것인지, 또 얼마나 걸릴지에 관해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북한의 6자회담 복귀가 한국의 ‘중대 제안’ 때문만은 아니며, 조지 부시 행정부의 전략이 옳았음을 입증하는 것이라는 점을 애써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산케이신문>은 미 행정부가 북한의 핵개발 단념이라는 전략적 결단을 이끌어내기 위해 북한의 핵포기 우선이라는 기존 방침을 바꿔, 6자 회담에서 북한의 핵포기 선언과 동시에 안전보장을 제공하는 이른바 ‘동시행동 방식’을 검토하고 있다고 이날 보도했다.
이는 북한의 핵포기 선언과 동시에 미국이 △안전보장 제공 △무력불행사 선언 △주권국가 인정 등의 조처를 취하고, 북한이 검증을 받아들이는 등 다음 단계로 넘어갈 때마다 상응하는 대가를 내놓는다는 구상이다. 동시행동 방식은 북한이 그동안 줄곧 주장해온 것이다.
한편, 6자 회담 러시아쪽 수석대표인 알렉산드르 알렉세예프 러시아 외무차관은 이날 <이타르타스>와 회견에서 “러시아는 북한에 대한 안전보장 확보가 한반도 핵문제 해결의 중요한 요소라고 믿고 있다”며 미국의 대북한 안전보장을 촉구했다. 그는 또 북한에 대해서는 2003년 1월 탈퇴한 핵확산금지조약(NPT)에 복귀하는 문제를 해결할 것을 촉구했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