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인터뷰…“군축·인권·납치는 따로 논의해야”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19일 “6자 회담은 한반도 비핵화와 북핵 폐기를 위한 것”이라며 “군축, 인권, 납치 문제를 의제화하려는 것은 이런 목표를 달성하는 데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정 장관은 이날 <한겨레>와의 단독 인터뷰에서 “6자 회담의 목표가 무엇인가를 명확히해야 한다”며 이렇게 말하고, “이는 북한과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다른 회담 참가국에 두루 해당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북한을 포함해 6자 회담 참가국들이 목표로 삼고 있는 ‘한반도 비핵화’의 의미에 대해, “1992년 한반도 비핵화 선언은 김일성 주석이 생전에 최고 지도자로서 발표한 것”이라며 “이 선언의 내용과 정신, 약속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 장관은 북한의 핵 문제 해결 의지에 대해선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6·17 면담에서) 북한의 궁극적 목표가 핵 보유냐는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핵확산금지조약 복귀, 국제원자력기구 사찰 수용, 다자 안전보장 검토 등을 얘기했는데, 이는 6자 회담 관련국들이 모두 듣고 싶었던 내용”이라고 말했다.
그는 백두산 관광에 대한 정부 지원을 현대 쪽이 요청한 데 대해, “(기업) 컨소시엄 구성 등 민간이 주도하는 비즈니스 모델로 추진하는 것이 더욱 항구적이고 경제적으로도 바람직하다”며 “정부의 적절한 역할도 종합적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남북경제협력추진위에서 합의한 새로운 경협 방식에 대해선, “궁극적으론 북한의 경공업을 어떻게 일으킬 것인가 하는 큰그림에서 접근해야 한다”며 “우리가 60년대 신발, 의류, 가발 등을 수출산업화해 기반을 잡았던 경험을 결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물을 끌어올릴 때 처음엔 펌프에 물을 붓는 것처럼 단기적으론 생필품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일본의 일부 언론이 야마사키 다쿠 총리 보좌관의 말을 빌려 ‘김정일 위원장이 북일 수교를 강하게 희망했다’고 말한 것처럼 보도한 데 대해서는, “일본이 먼저 북-일 관계 정상화 의지를 전해달라고 나에게 말했으며, 이에 대해 김 위원장이 경청했고 정확히 잘들었다고 말했다”고 바로 잡았다.
한편, 스콧 매클렐런 미국 백악관 대변인은 18일(현지시각) 정례 브리핑에서 ‘이번 6자 회담에서 북한 인권 문제를 제기할 것이냐’는 질문에 “우리는 핵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밝혀, 북한 인권 문제를 제기하지 않을 뜻임을 내비쳤다. 또 조지 부시 대통령은 북한 인권특사에 제이 레프코위츠 전 백악관 국내정책 담당 부보좌관을 내정했으나, 공식 발표는 북핵 6자 회담 이후로 미루고 있다고 미국의 한 고위관리가 밝혔다.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