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7.20 21:19 수정 : 2005.07.20 21:21

“직접송전, 낙후된 북 전력망탓 쉽지 않아”
“변화장치 설치하면 전력망 불안정 문제안돼”

녹색연합은 20일 오후 서울 신문로 환경재단에서 ‘북한 전력지원,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대북 직접송전 방식의 전력지원을 뼈대로 한 ‘중대제안’에 대해 토론을 벌였다.

이날 토론회에서 발제에 나선 강정민 평화네트워크 자문위원은 “남·북한 전력망은 주파수와 전압 변동 폭, 발전용량 등에서 현격한 차이가 있어, 대북송전은 기술적으로 간단치 않은 문제”라며 “특히 북한의 전력망은 지역적으로 크게 단절된 낙후된 전력망의 집합으로 구성돼 있어, 남에서 ‘질 높은’ 전기를 공급해 주더라도 실제 북쪽 전력 사정에 얼마나 큰 도움이 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석광훈 녹색연합 정책위원은 “북한의 도시 및 산업단지 분포현황에 맞는 중소규모 분산형 전원과 수력자원이 풍부한 러시아 극동지역을 통한 전력공급 방안은 시간과 예산을 단축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여러차례 검토된 바 있다”며 “대북 전력지원 방식은 여러가지가 존재하며, 정부는 북한의 입장을 포함해 다양한 방식을 놓고 열린 자세로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대토론에 나선 김형석 통일부 정책총괄과장은 “대북 송전방식으로 북한의 전력계통망과 분리하는 방안과 연계하는 방안 두가지를 검토하고 있으며, 분리할 경우 전력망 불안정은 아무런 문제가 안 된다”며 “또 변환장치를 설치하면 대북 직접 송전에 따른 전력망 불안정성 문제를 차단할 수 있다”고 반박했다. 김 과장은 또 “여러 대북 전력공급 방안을 검토했지만, 기본적으로 남북교류·협력은 경제적인 논리 외에 전략적인 측면도 고려할 수밖에 없다”며 “남북관계 변화·발전 정도에 따라 여타 방안도 향후 충분히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