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7.25 10:36 수정 : 2005.07.25 10:36

한국, 24일 북에 이어 25일 미.일과 회동

제4차 북핵 6자회담 개막을 하루 앞둔 25일 남.북한과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6개국은 양자협의를 다각적으로 갖고 본회담에서의 실질적인 진전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집중적인 사전조율 작업을 벌였다.

우리측 대표단은 한미협의를 한데 이어 일본과도 양자협의를 갖고, 26일 중국. 러시아와도 별도로 만난다는 계획이다. 중국측도 24일 북한과 접촉했으며 가능하면 이날 중에 미국, 러시아, 일본 등과 양자협의를 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6개국은 또 오후 4시30분 댜오위타이에서 차석대표들이 참석하는 실무준비회의를 열어 본회담의 일정과 형식 등을 협의할 예정이다.

이어 오후 6시30분에는 같은 장소에서 주재국인 중국의 리자오싱 외교부장 주재로 환영 리셉션이 열려 대표단 간에 상견례가 이뤄질 전망이다.

6개국은 이날 양자협의와 실무대책회의, 환영리셉션을 통해 본회담 기간과 방식 등은 물론 예상 쟁점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

우리측 대표단은 24일 남북접촉과 한미 양자협의에서 이번 회담에서 실질적 진전을 이루기 위해 핵군축회담 주장과 대북 인권, 일본의 납치자 문제 등 북핵 이외의 사안을 의제화해서는 안된다는 기본 입장을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측 대표단은 일본과의 접촉에서도 이 같은 원칙을 강조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일본내에서 납치문제에 대한 진전이 없는 상황에서 작년 6월 3차 6자회담에서 약속한 대북 에너지지원 동참이 어려울 수도 있다는 입장이 나오고 있어 주목된다.


대북 중대제안과 관련, 정부는 북한의 핵포기시 대북 송전이 이뤄질 때까지 3년간, 미국을 포함한 나머지 4개국이 북한에 중유을 제공하는 것과 관련해 관련국의 의중을 타진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북측 대표단은 24일 남북접촉에서 대북 중대제안과 관련해 구체적인 입장 표명을 하지 않은 채 핵군축회담 주장도 크게 부각하지 않았으며 선핵폐기는 어렵다는

입장을 표명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북한에 대한 체제보장 문제가 이번 회담의 핵심이 될 것으로 보고 북한이 이에 대해 본회담에서 어떻게 언급할 지를 예의주시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