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5.07.25 12:53
수정 : 2005.07.25 12:54
제4차 북핵 6자회담을 앞두고 있는 중국 베이징에 `일본 주의보'가 내려진 분위기다.
2008년 북핵폐기와 동시에 200만㎾의 대북 송전을 시작하기 전까지 3년 동안 대체에너지인 중유를 북한에 제공하겠다는 우리측의 제안에 일본 정부가 난색을 표명했다고 산케이 신문이 25일 보도했기 때문이다.
보도가 사실이라면 일본은 폐기를 전제로 한 북핵 동결 시 에너지 지원에 참가할 용의가 있다고 밝힌 지난 3차회담 때의 입장을 번복한 셈이 된다.
일본의 이 같은 방침이 사실이라면 3차회담 읕 납치일본인 유골문제가 불거지면서 이에 대한 국내여론이 악화되는 내부적인 정치적인 상황만을 고려한 것으로, 6자회담 참가국으로서는 결코 신중치 못한 것이라는 지적이다.
이렇게 되면 중대제안에 이르기 까지의 과정인 대북 중유공급에 일정부분 차질이 생길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여 이번 회담이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특히 일본의 이런 움직임은 북한의 핵폐기를 유도하기 위한 지렛대로 활용하려던 `중대제안'의 유용성마저 반감시킬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우리 대표단은 본회담 이전인 25일 오전 열린 한일 양자접촉에서 이에 대한 설득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일본의 입장은 3차회담 당시부터 중유제공안에 동참하지 않겠다고 밝혔던 미국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일본의 이 같은 움직임은 사실 이미 오래 전부터 감지됐다.
북핵문제 해결의 장이 돼야 할 6자회담장에서 양자간 문제인 납치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물론 이에 대한 진전을 이끌어 낼 것이라고 공언, 회담의 집중력을 흩뜨려 왔기 때문이다.
우리 정부는 이미 이 같은 일본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6자회담장에서 납치문제를 거론하지 말 것을 경고한 바 있다.
또 지난 14일 서울에서 열린 한ㆍ미ㆍ일 3자협의에서도 한미 양국이 일본 정부에 자제해 줄 것으로 당부하기도 했다.
하지만 주변 핵심국가들의 이런 간곡한 요청에도 불구하고 일본 당국자들이 납치 문제를 거론할 것이라는 자국 언론보도는 끊이지 않고 있다.
한미는 일본의 입장이 정 그렇다면 6자회담 틀 내 양자접촉을 통해 논의하라고 마지못해 `뒷문'을 열어줬지만 정작 북한은 일본의 접촉요구에 `무시전략'으로 일관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