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담기간 연장에 원칙적 동의
남.북한과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6개국은 26일 오전 베이징 댜오위타이에서 제4차 6자회담의 공식 개막식을 갖고 북핵 문제의 실질적인 진전을 이끌어 내기 위한 본격 협의에 착수한다. 이에 앞서 25일에는 6개국간에 양자협의가 집중적으로 이뤄졌으며 차석대표급이 참석하는 실무대책회의, 리자오싱 중국 외교부장 주재의 환영리셉션이 열려 본회담을 앞둔 강도높은 사전 탐색이 이뤄졌다. 6개국은 개막식후 추가적인 양자협의를 할 예정이며 회담 둘째날인 27일 전체회의를 갖고 이번 회담의 방향타가 될 각 국의 기조연설을 하게 된다. 공식 개막식은 오전 9시로 예정돼 있으며 의장국인 중국의 수석대표인 우다웨이 외교부 부부장의 개막선언에 이어 리 부장의 개막사, 각 국 수석대표의 인사말 순으로 진행된다. 앞서 24일 남북접촉과 이날 오전 한미 양자협의가 이뤄진데 이어 오후에는 부시 대통령 집권이후 북미 대표단간의 처음으로 회동하고 이견 좁히기를 시도했다. 이 자리에서 북측은 미측의 협상의지 등을 집중 타진했으며, 미측은 북한에서 최근 집중적으로 흘러나오고 있는 평화체제 구축문제 등과 관련해 어떤 의도가 있는 지를 파악하는데 주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대표단은 이번 회담에서 대북 송전을 골자로 한 `중대제안'을 전략적으로 활용해 북핵문제의 실질적 진전에 기여토록 하는 한편 적어도 합의문 이상의 성과를 이끌어낸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회담 기간과 관련, 우리측은 합의문 발표까지 회담을 한다는 각오로 임하고 있으며 여의치 않을 경우 휴회기간을 두고 회담을 계속하는 방법으로 최대 한달까지라도 기간을 늘린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북측도 회담 기간 연장에 원칙적으로 동의한다는 입장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남북은 양자협의 결과, "내용면에서 거리가 있는 부분이 많다"고 할 정도로 이견은 있었으나 회담의 형식과 방법, 그리고 비핵화의 틀 등에 대해 공감하고 수시로 양자협의를 갖자고 합의하는 등 어느 정도 성과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베이징=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