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7.29 18:28 수정 : 2005.07.29 18:29

미국은 이번 6자회담에서 북한이 파키스탄 핵과학자로부터 비밀리에 우라늄 농축기술을 획득했다는 주장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를 북한에 처음으로 제시한 것으로 미 행정부 고위관리 2명이 밝혔다고 뉴욕타임스(NYT) 인터넷판이 29일 보도했다.

이 관리들은 핵 무장해제 논의가 북한이 자랑해온 핵무기 프로그램 뿐만아니라 존재를 부인하고 있는 고농축 우라늄 문제까지 포괄해야 한다는 점을 북한에 주지시키기 위해 미국이 양자회담 첫 이틀간 접촉에서 이런 증거를 제시하게 됐다고 말했다.

타임스는 북한이 파키스탄 핵과학자 압둘 카디르 칸 박사가 만든 네트워크를 통해 우라늄 농축 기술을 획득했다는 증거를 협상 테이블에 내놓은 것은 북한의 핵 프로그램 범위를 둘러싼 교착상태를 타개하려는 노력이기 때문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미 관리들은 북한측 반응을 전하길 꺼렸으나 한 관리는 칸 박사의 증언에 기반한 증거를 내놓자 북한측은 "우리와 이에 관한 논쟁을 벌였다"고 말했다.

미국은 칸 박사가 파키스탄 당국에 한 증언을 공개한 적은 없으나 아시아 동맹국들과 이에관한 정보를 공유해 왔다.

이 중에는 북한이 완전히 조립된 것이라며 핵무기 3기를 보여줬다는 증언내용이 포함돼 있으나 미국 정보업계의 여러 전문가들이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것으로 신문은 밝혔다.

타임스는 두 관리가 협상이 진행 중이고 사안의 민감성을 들어 미국이 북한측에 얼마나 구체적으로 증거를 제시했는지에 관해서는 밝히기를 거부했다고 전했다.

한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가 이끄는 미국측 6자회담 대표단은 북.미 양자회담에서 북한과 일반론을 넘어 구체적인 사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힐 차관보는 이날 북한과 양자회담에서 일부 사안에서 '공통의 이해'에 도달했으나 여전히 '많은 견해차'가 있다고 밝혔다.

앞서 힐 차관보는 이번 베이징 6자회담에서 북핵문제에 대한 돌파구가 열리기는 힘들며 회담 참가국들이 '공유된 원칙'을 명시하는 성명에 합의하는 수준이 되길 바란다고 밝힌 바 있다. 워싱턴의 한 관리는 이와관련, 우선적으로 합의돼야 할 두 가지 원칙은 북한도 이전에 동의한 한반도 비핵화 준수와 북한 핵기술 유출 금지라고 밝혔다고 타임스는 보도했다.

(서울=연합뉴스)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