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8.09 07:54 수정 : 2005.08.09 07:54

백악관.국무부 "목표점 근접했었다"

미 정부는 8일(현지시간) 제4차 북핵 6자회담에 대해 "중요한 진전" 혹은 "상당한(good) 진전"이 있었다고 평가하고 이달 하순 재개 예정인 이 회담의 타결 전망을 "여전히 낙관적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미 정부는 그러나 제4차 회담이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원칙선언'에 끝내 합의치 못하고 휴회에 들어가게 된 핵심쟁점인 대북 경수로 지원 문제에 대해, 북한의 경수로 포기를 촉구함으로써 미국의 입장 변화를 요구한 북한과 접점 찾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미 정부는 이와 함께 북한과 이란은 핵개발의 "단계가 다르기 때문에" 두 나라의 평화적 핵 이용권에 대한 접근법에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애덤 어럴리 미 국무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우리는 13일간의 베이징 회담에서 상당한 진전이 이뤄졌다고 믿는다"며 "목표점엔 이르지 못했지만 아주 근접했다"고 말했다.

트렌트 더피 백악관 대변인도 "중요한 진전이 있었다고 생각하며, 일부 합의를 이룰 수 있을 것이라는 데 대해 여전히 낙관적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베이징 회담을 진전으로 보는 이유에 대해 어럴리 부대변인은 "13개월 동안 중단됐었던 논의가 지속적이고 실질적으로 진행됐을 뿐 아니라 그동안의 회담에 비해 서도 알찬 내용이었다"고 말하고 "합의문안이 4차 수정안까지 간 것"도 진전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우리는 이를 근거로 몇주내에 목표점에 이를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어럴리 부대변인은 그러나 북한의 경수로 요구와 관련, "중국과 러시아도 미국과 같은 입장이냐"는 질문에 "원칙선언과 북한의 전략적 결단 요구라는 측면에서 우리는 모두 같은 입장"이라며 "북한이 다음에 회담에 돌아올 때 합의문에 서명할 준비가 돼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미국이 이란에 대해선 평화적 핵 이용권을 인정하면서 북한에 대해선 부인하는 이유와 관련, "북한은 이미 핵무기를 개발했기 때문이냐"는 질문에 어럴리 부대변인은 북한과 이란의 핵 프로그램의 "개발 단계가 다른 게 중요한 요인중 하나이며, 그외에도 여러 차이점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과 이란 모두 핵개발 의도에 대한 "심각한 신뢰의 결여"와 "국제사회에 대한 위협" 등의 공통점이 있으나 "그런 일반적인 점외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차이점들이 있기 때문에 미국의 접근법도 다를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제4차 6자회담의 이달 하순 재개 전망과 관련, 어럴리 부대변인은 북한이 "다시 돌아온다"고 명시적으로 말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우리는 모든 나라가 돌아온다는 생각을 갖고 휴회에 들어갔으므로, (북한의 실제 복귀 여부는) 문제가 아니며, 이에 관해선 일말의 의심도 없다"고 역설했다.

(워싱턴=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