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8.24 15:48 수정 : 2005.08.24 15:48

정동영 통일부장관은 24일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의 대북경수로 사업과 관련, "대북송전(전력지원)계획은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경수로 사업을 종료하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이라고 말했다.

정 장관은 이날 통일부 2004년도 결산안 심사를 위한 국회 통일외교통상위 전체회의에 출석해 여야 의원들의 질의에 대해 이같이 답변하고, 200만KW 대북 전력지원과 대북 경수로사업을 동시 병행 추진하지는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정 장관은 이같은 정부방침에 대해 "당장 발등의 불로서 북한 핵문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하자는 것"이라면서 다만 "장래에 북한이 평화적 핵 이용권한을 향유하게 되면 신포는 이미 (경수로) 터도 닦아 놓고 한반도내에서 가장 단단한 암반지역이기 때문에 남북이 공동으로 사업을 모색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정 장관은 또 북핵 6자회담에서 걸림돌이 됐던 북한의 평화적 핵이용권 문제와 관련, "북한이 NPT(핵무기비확산조약)에 복귀하고 IAEA(국제원자력기구)의 사찰을 받으면 NPT회원국으로서 향유할 수 있는 평화적 핵 이용권을 갖는 것은 당연하다"고거듭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