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8.25 10:43 수정 : 2005.08.25 10:44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25일 "베이징에서 열리는 6자회담에서 합의문이 발표되면 `중대제안' 실행을 위한 남북 협의가 시작되고 협의기간에는 유관국의 중유 제공이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날 오전 `팍스코리아나21' 주최로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강연에서 우리측 대북 송전계획인 중대제안을 놓고 `선핵포기' 후에 송전되는 게 아니냐는 북측의 우려에 대해 이 같이 말하고 "이는 분명 선포기가 아닌 동시병행"이라고 강조했다.

또 남측이 송전 스위치를 내릴 경우 전력 주권이 침해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도 "(송전이 이뤄질) 2008년이면 개성공단에 종사하는 남북 인력도 10만명이 되고 투자금액도 엄청나게 늘어날 것인 만큼 걱정 안 해도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6자회담의 쟁점이 되고 있는 평화적 핵 이용권에 대해서는 "북한이 핵무기비확산조약(NPT)에 가입하면 평화적 이용권을 당연히 갖게 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중대제안의 의미에 대해 "핵문제 타결을 위한 방안의 성격도 갖고 있지만 민족경제의 균형발전과 그 연장선상에서 경제통합으로 가는 바탕이 될 것"이라며 경제통합 모델로 제도적 통합까지 진행 중인 유럽연합과 집중적인 중소기업의 투자를 통해 기능적 통합이 이뤄진 대만ㆍ중국 모델 등을 거론했다.

정 장관은 한반도 정세와 관련, "북한이 미국, 일본과 우호국가가 되면 한반도 냉전도 끝나고 정전에 따른 불완전한 평화도 영구적이게 될 것"이라며 "이런 기회를 지금 참여정부가 맞고 있는 만큼 결코 놓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