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5.09.08 19:57
수정 : 2005.09.08 19:57
13일 회담재개 확정… 방북 미의원 “공동합의문 매우 어려울 것”
정동영 통일부장관은 8일 “(4차 6자회담 2단계 회의의) 핵심 쟁점은 북한의 평화적 원자력 이용 권리이고, 내용적으로는 경수로를 짓는 문제”라고 말했다.
정 장관은 서울 서초동 교육인적자원연수원에서 전국 시·군·구 교육장 180여명을 대상으로 특강을 하면서, “경수로와 관련한 북의 주장은 남한에 20개, 일본에 50개, 미국에 100개의 경수로가 있는데 왜 우리(북)는 못 갖느냐는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케도(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가 짓다가 중단한 신포 경수로와 이론적으로 가능한 미래의 권리로서 일반 발전용 경수로를 지을 권리를 구분한 뒤, “신포 경수로는 미국의 반대로 지을 수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경수로 문제가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권과 관련해 북핵 해결의 걸림돌이어서, 이를 풀려고 정부가 신포 경수로 종료를 전제로 200만 킬로와트 대북 직접 송전을 내용으로 하는 ‘중대 제안’을 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4차 6자회담 1단계 회의의 4차 초안은)모두 (6개조) 15개 항쯤 되는데, (평화적 이용 권리 문제를 빼고) 나머지는 절충점을 찾아 놨다”고 밝혔다.
한편, 최근 북한을 방문하고 워싱턴으로 돌아간 하원 아태 소위원회 위원장인 짐 리치 의원(공화당)은 6일(현지시각) 6자회담 당사국 모두가 수용할 수 있는 ‘원칙을 담은 성명서’의 문구를 만들어내기가 “매우,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리치 의원과 함께 방북했던 하원 국제관계위원회 위원인 톰 랜토스 의원(민주당)은 “과거 관계로 볼 때 (북이) 이 시점에서 특정 사항을 고집하는 것이 매우 유용한 협상 전술이 아닐 수 있다”며 “현재 국내 문제에 쏠려 있는 미국인과 의회의 관심을 이 문제와 결부시킨다면, 지연 전술은 협상의 결렬과 실패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이규형 외교통상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제4차 6자회담(2단계 회의)이 13일부터 중국 베이징에서 속개될 예정”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이제훈 기자
nomad@hani.co.kr, 워싱턴/연합뉴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