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9.09 21:47 수정 : 2005.09.09 21:47

세계식량기구 등에 요청

북한은 최근 국제기구의 대북 인도적 식량 지원 활동을 ‘긴급 구호’에서 ‘개발 지원’에 무게중심을 두는 쪽으로 전환해줄 것을 세계식량기구(WFP) 등에 요청한 것으로 9일 전해졌다.

정부 당국자는 “북한이 세계식량기구와 국제사회의 대북 인도적 식량 지원 방식을 변경해 줄 것을 요청하고, 관련 협의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북한이 만성적 식량난에서 벗어나려면 농업 기반을 강화해야 한다는 뜻이 담긴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북한이 올해 농업을 주공전선으로 정하고,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최근 현지시찰에서 농작물 증산과 ‘먹는 문제’를 특별히 강조하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북의 이런 태도는 지난해부터 제기해온 유엔 통합지원절차(CAP) 탈퇴 요구와도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지난해 말 최수헌 외무성 부상이 이미 이런 방향을 제기한 바 있다”고 말했다. 유엔 통합지원절차는 유엔 인도주의업무 조정국(OCHA)이 주도하는 일괄지원 프로그램으로, 지원 사업의 중복이나 비효율을 피하기 위해 유엔 주도로 규모와 내역을 정하고 일괄적으로 국제사회에 지원을 요청하는 절차다. 북한은 지난해 8월 개별원조 창구를 원한다는 이유로 이 절차에서 빼줄 것을 요청했고, 올 초 지원 대상국에서 빠졌다.

정부 관계자는 “북한이 세계식량계획 등 국제사회의 식량 지원을 받는 것을 올 연말로 중단했으면 한다는 뜻을 톰 랜토스 미국 하원의원 등 평양을 방문한 관계자들과 유엔 기관에 비공식적으로 밝힌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북한은 여전히 식량이 많이 부족하다”며 “때문에 최근의 움직임을 북이 ‘앞으론 국제사회의 식량 지원을 일체 받지 않겠다’는 방침을 천명한 것으로 해석하는 것은 현 시점에서 무리”라고 지적했다. 한 전문가는 “북한의 최근 움직임은 세계식량계획의 지원 효과가 (남한이나 중국 등에 비해) 매우 낮다는 판단이 작용했을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제훈 기자 nomad@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