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5.08.26 19:44 수정 : 2015.08.26 21:40

추석 이산상봉 100가족 안팎
이후 대규모 추진 검토
군, 대북 경계태세 수준 낮춰
대화 분위기 조성 본격화

남북이 25일 마무리된 2+2 고위급 접촉에서 군사적 긴장을 낮추고 대화의 장을 열기로 합의한 데 따라, 정부가 26일 남북 당국회담 준비에 본격 착수했다. 정부는 특히 5·24조치에 대해 당국회담에서 논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정부 당국자는 26일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당국회담을 서울 또는 평양에서 빠른 시일에 개최한다고 합의한 데 따라, 당국회담의 성격과 의제, 틀을 짜는 작업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통일부는 남북회담 관련 인력을 대폭 확충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실무 준비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 당국자는 “남북 대화 채널이 복원될 예정인 만큼 회담 관련 부서 인력 충원이 검토되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5·24 문제와 관련해서는 당국간 회담이 열리고 그 밑에 하부의 여러 가지 회담들이 제기되면 5·24 문제에 관심이 있는 북쪽이 제기할 사항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존에 밝혀온 대로 5·24조치에 대해서도 대화를 통해 북쪽의 사과를 받으면 해제할 수 있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에 따라 2+2 접촉에서 지뢰 폭발에 대한 북쪽의 유감 표명을 이끌어냈듯이 당국 회담에서도 비슷한 언급을 받아낸다면 5·24조치를 해제하는 수순으로 갈 수도 있지 않겠느냐는 조심스런 전망도 나왔다.

정부는 또 2+2 접촉에서 합의한 올 추석 계기 이산가족 상봉 행사의 규모와 시기 등에 대한 본격 검토에도 착수했다. 앞서 홍용표 통일부 장관은 25일 “이산가족 상봉은 앞으로 계속해나가고 특히 그것을 위한 적십자 실무접촉을 하기로 명확하게 합의했기 때문에 아마 곧 시작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정부는 시일이 촉박한 만큼, 이번 상봉 행사의 규모는 이전과 같이 남북 각 100가족 정도로 하되, 이후 대규모 상봉을 추진하는 등의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남북은 상봉 시점과 규모 등을 논의하기 위한 적십자 실무접촉을 9월초에 열 예정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남북의 군사적 긴장 상태에서 이뤄낸 대화국면을 연일 ‘원칙’의 승리로 평가하며 자신감을 나타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로 새누리당 국회의원들을 초청해 오찬을 함께 한 자리에서 “일촉즉발의 긴박한 순간들이었지만 또다시 이런 도발로 우리 국민들의 안위와 국가 안보가 위협을 받아서는 안 되기 때문에 끝까지 원칙을 가지고 임했다”고 말했다.

황병서 북한군 총정치국장이 전날 “남조선 당국이 근거 없는 사건을 만들었다”고 한 말에 대해,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은 “황 국장의 발언에 구구절절이 말하지는 않겠다. 정답은 합의문에 나와 있다”고 일축하면서 논란 확산을 피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군은 북한이 무장을 준전시상태 이전으로 돌리는 데 맞춰 최고 수준의 경계 태세를 낮췄다. 한민구 국방장관은 이날 국회 국방위 전체회의에 참석해 “적의 위협 수준을 고려하며 경계 태세를 탄력적으로 조정하겠다”고 말했다.

김지훈 기자 watchdog@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