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5.09.16 19:56 수정 : 2015.09.16 22:16

북한 ‘핵 실험’ 위협
로켓 쏴도 진행에 무게

북한이 장거리 로켓 발사와 핵실험 가능성을 시사함에 따라 이산가족들의 불안감이 커져가고 있다. 정부는 일단 행사 준비를 예정대로 진행해 나갔다.

대한적십자사(한적)는 16일 북쪽이 의뢰한 이산가족 명단 200명의 생사확인 작업에 들어갔다. 전날 판문점에서 건네받은 북쪽 이산가족 200명의 연령대를 보면, 90살 이상 1명(0.5%), 80~89살 192명(96%), 70~79살 7명(3.5%) 순으로 모두 70살 이상 고령자다. 한적은 통일부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등록된 6만6292명의 이산가족의 신상과 북쪽의 명단을 맞춰보며 이산가족을 찾는다. 남북은 다음달 5일 생사확인 결과를 교환하고, 8일 최종 상봉 대상자 100명씩의 명단을 교환할 예정이다.

이산가족 상봉행사가 이뤄질 금강산 면회소 등의 시설 점검단도 이날 금강산으로 방북해 이틀간의 준비 점검에 들어갔다. 통일부 당국자와 현대아산 기술자 등 14명으로 이뤄진 점검단은 상봉행사에 사용될 이산가족 면회소와 외금강호텔, 금강산호텔 등을 살펴본다.

북쪽의 장거리 로켓 발사나 핵실험으로 이산가족 상봉행사가 자칫 열리지 못할까 이산가족들은 불안해하고 있다. 황해도 신천이 고향인 유승곤(83)씨는 조마조마한 심경을 감추지 못하며 “북한이 미사일을 쏘면 안 되고 이보다 더 무서운 핵실험은 절대 해선 안 된다. 한민족이고 동포고 가족인데 만나야 할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북쪽이 장거리 로켓 발사와 핵실험을 하더라도 정부는 이산가족 상봉 행사는 예정대로 진행한다는 쪽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북쪽이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시사한 다음날인 15일에도 박근혜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두고 “상봉의 기쁨을 누릴 수 있게 돼 다행”이라고 말했다. 정부 관계자는 “이산가족 상봉은 인도적 행사이기 때문에 정치군사적 갈등과 별개로 진행할 수 있으리라 본다”고 말했다.

하지만 북쪽의 장거리 로켓 발사 가능성이 높고, 이에 따른 국제제재를 둘러싼 공방이 불거지면서 이산가족 상봉 또한 연기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도 나온다. 김창수 코리아연구원장은 “중국과 러시아가 올해 열병식에 장거리 미사일을 등장시켜 북한도 위성을 발사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면 이산가족 상봉도 연기될 가능성이 크다”며 “그전에 남쪽은 남북 당국회담을 성사시키고, 미·중은 25일 정상회담에서 6자회담을 제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지훈 기자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