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mm 신형 방사포 첫 공개
핵무기·남북관계는 언급 안 해
북한이 노동당 창건 70주년 열병식에서 개량형 케이엔(KN)-08 이동식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과 개량형 300mm 신형 방사포 신무기를 공개했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제1비서가 이날 연설에서 핵무기와 인공위성(장거리 로켓)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아 향후 북-중 관계 개선을 기대하는 제스처란 분석이 나온다. 류윈산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은 비핵화와 6자회담 재개를 언급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10일 생중계한 열병식을 보면 개량형 케이엔(KN)-08 이동식 대륙간 탄도 미사일이 등장했다. 이 미사일의 사정거리는 1만2000킬로미터로 미국 서부를 사정권으로 뒀다. 이 미사일은 2012년 김일성 100회 생일(태양절) 기념 열병식에서 처음으로 공개했으나, 이번엔 탄두가 뾰족한 형태에서 둥근 형태로 바뀐 개량형으로 선보였다. 올해 잠수함에서 발사하는 모습을 공개했던 ‘북극성’이란 이름의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은 공개되지 않았다.
이날 열병식에는 2013년 열병식에서 나왔던 핵 로고가 그려진 배낭을 맨 보병부대가 행진했다. 무인타격기도 모습을 드러냈다. 노동당 당 로고와 70주년을 형상화한 비행단이 비행해 광장 위를 지나가자 김 제1비서가 류윈산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에게 열정적으로 설명하는 모습도 보였다. 정부 관계자는 “오늘 열병식에 등장한 무기는 처음 선보인 300㎜ 신형 방사포와 탄두가 개량된 KN-08 장거리 미사일을 제외하고는 예년 수준을 넘지 않았다”며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 등 신형 위협 무기를 공개하지 않은 것은 중국 등 대외 관계를 상당히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당초 남쪽보다 30분 늦은 오전 10시(평양시간)께 김일성광장에서 열릴 예정이던 열병식이 흐린 날씨와 비로 인해 연기돼, 오후 3시(평양시간)부터 공식적으로 시작됐다. 이날 열병식엔 북한 주민 10만여명, 1~2조원에 달하는 예산을 투입했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
북한 노동당 창건 70주년 기념일인 10일 오후 평양 김일성 광장에서 열린 열병식에서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노동당기가 게양되자 경례하고 있는 모습이 조선중앙TV로 생중계되고 있다. 김 위원장 오른쪽은 류윈산 중국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 연합뉴스 2015.10.10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