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5.10.19 19:56 수정 : 2015.10.19 19:56

‘상봉중단’ 등 구체조처는 언급없어
정부 공식반응도 아직 내놓지 않아

북한은 19일, 박근혜 대통령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 직후 밝힌 ‘북한에 관한 공동성명’과 공동 기자회견의 북핵·북한 문제 관련 메시지에 대해 “파국적 후과”를 경고하며 강력 반발했다. 다만 20일 금강산에서 시작되는 남북 이산가족 상봉행사 중단 여부 등 구체적 대응 조처는 언급하지 않았다. 북쪽은 한-미 정상회담과 관련해 국방위원회나 외교부 등 정부 기관의 공식 반응은 아직 내놓지 않고 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이날 논평을 내어 “남조선 집권자는 주제넘게도 ‘북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느니 ‘보다 강력한 제재’니 ‘북 ‘인권’ 문제가 개탄스럽다’느니 뭐니 악담을 늘어놓았다”며 “남조선집권자는 자기의 말과 행동이 어떤 파국적 후과를 가져오겠는가를 똑똑히 알아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우리의 핵무력은 미국의 항시적인 핵위협으로부터 나라와 민족을 지키기 위한 민족 공동의 보검”이라고 주장했다. 논평은 “박근혜는 북남관계 문제는 고사하고 세상돌아가는 물정도 모르는 철부지 계집애가 분명하다”고 비난하는 등 매우 거친 표현을 대거 동원했다. 아울러 박 대통령의 방미 결과를 “해괴망측한 반공화국 광대극”, “친미사대 매국 행각”, “동족대결 구걸 행각”이라 주장했다.

김진철 기자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