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북한의 제4차 핵실험에 대한 대응 조치로 최전방 11곳에서 대북 확성기 방송을 재개한 8일 오후 경기 연천군의 한 포병부대에서 포신이 북쪽을 향하고 있다. 연천/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
“북 도발땐 가차없이 응징”
한민구 국방, 일 방위상과 공조 논의
개성공단은 차질없이 가동
군은 8일 대북 확성기 방송을 재개하며 최고 수준의 경계태세에 돌입하는 등 만약의 사태에 대비했다. 북한군도 확성기로 ‘맞불’을 놨지만 소리가 잘 들리지 않았다. 개성공업지구(개성공단)는 인원이 오가며 정상 가동됐다.
군 당국자는 이날 합동참모본부가 운용하는 인포콘(정보작전방호태세)과 관련해, 구체적 단계는 “군 기밀 사안”이라며 언급하지 않은 채, “인포콘 수준을 격상해 북한군의 동향을 정밀 감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군은 북한이 대북 확성기 타격에 나설 경우에 대비해 확성기 주변에 방호·은폐시설을 구축해 놓고, 무인카메라와 무인정찰기 등을 배치해 정찰·감시를 강화하고 있다. 토우 대전차미사일, 대공방어무기 비호, 대포병탐지레이더(AN/TPQ-36), K-9 자주포, K-4 고속유탄기관총, K-3 기관총, 90㎜ 무반동총 등으로 언제든 응사할 수 있는 대응태세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 당국자는 “북한이 도발하면 자위권 차원에서 가차없이 응징할 것”이라고 말했다.
|
개성공업지구 상황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