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사드 배치 언급 이어
미, 한·일과 MD강화 논의 밝혀
둘 다 중국에 가장 예민한 사항
도넘은 공세로 북·중 되레 밀착
한-중, 미-중 관계 악화 불러
동북아 정세 불안 키울 우려도
한·미 양국 정부가 대북 제재의 수위를 높이라며 중국에 전방위 압박을 가하고 있다. 특히 중국이 가장 예민하게 받아들이는 사드 배치 검토나 미사일방어(MD) 시스템 논의 등까지 거론하고 있다. 이는 일종의 레드라인(금지선)을 넘어서는 것으로, 한-중 관계와 미-중 관계 악화를 불러와 북한 핵실험과는 또다른 차원의 동북아 정세 불안정을 야기할 것으로 보인다.
박근혜 대통령의 ‘사드 배치 검토’ 발언에 이어 벤 로즈 미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부보좌관이 13일(현지시각) 한·일과 미사일방어 능력 강화를 논의하고 있다고 공개한 것은 전략적으로 몇가지 의미를 담고 있다.
우선, 북한의 4차 핵실험에 대해 양자 제재보다는 중국을 끌어들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차원의 다자 제재 강화에 1차적인 주안점을 두겠다는 것이다. 미국이 독자적으로 행하는 양자 제재는 북한의 반발이 거셀 경우 미국 입장에서도 위험 부담이 따르기 때문이다.
둘째, 이런 전략의 연장선에서 중국을 대북 제재 강화에 끌어들이기 위해 적성국에나 행사하는 군사적인 강압 전략을 펼치겠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날 로즈 부보좌관은 한·일과 엠디 논의를 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북한의 핵실험에서 알 수 있듯이, 중요한 것은 현재의 (중국의) 현상유지 정책이 (한반도를) 불안정하게 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대북 제재를 강화하지 않을 경우 중국의 안보 환경이 불안해질 수 있다는 점을 실력행사로 보여줄 수 있다는 경고인 셈이다.
|
한·미·일, 대중국 압박 공세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