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조선중앙TV가 7일 광명성 4호 발사장면을 사진으로 내보냈다. 2016.2.7 연합뉴스
|
“한미동맹 결정, 주한미군 사령관 건의에 따라 이뤄져”
중국·러시아 사드 거듭 반대…한·미·일과 갈등 양상 격화
대북 확성기 방송도 확대…정부 차원 대응에도 나설듯
한국과 미국 정부는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로켓 발사에 대응해 주한미군에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를 위한 공식 협의를 시작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또 다음달 열리는 키리졸브 한-미연합훈련을 사상 최대규모로 진행하고, 대북 확성기 방송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는 한-미의 사드 배치 협의 착수 발표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류제승 국방부 정책실장은 7일 오후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에서 진행된 브리핑에서 “한국과 미국은 최근 북한이 감행한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가 한국과 전체 아태 지역의 평화 안정에 대한 북한의 심각한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위협을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했다”며 사드 협의 시작 방침을 공개했다.
국방부 당국자는 “한반도 사드 배치는 중국의 안보에 거의 영향이 없으며, 한국의 미국 미사일방어(MD) 참여와도 무관하다”고 말했다. 국방부 당국자는 “한국은 사드 구매 계획이 없으며, 사드 전개·운영 유지 비용은 미국 쪽이 부담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다만 사드 배치 터와 기반시설은 한국 쪽이 부담한다”고 덧붙였다. 한-미 양국 정부는 사드 배치와 관련해 공동실무단을 운용하기로 했으며, 이 실무단에서 사드 배치 터 등을 검토하게 될 것이라고 국방부 당국자는 말했다.
류제승 실장은 “한-미 양국은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한·미 동맹의 미사일 방어 태세를 향상하는 조치로서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 가능성에 대한 공식 협의의 시작을 한·미 동맹 차원에서 결정했다”며 “이런 한·미 동맹의 결정은 한미연합군사령관 겸 주한미군사령관인 스캐퍼로티 대장의 건의에 따라 이뤄졌다”고 밝혔다. 류 실장은 “한·미 공식 협의의 목적은 가능한 조속한 시일 내에 사드의 한반도 배치 및 작전 수행 가능성을 공동으로 모색하는 데 있다”고 덧붙였다.
토머스 밴달 주한 미8군 사령관도 류 실장과 함께한 브리핑에서 “미국 정부가 이번 중요한 결정을 강력히 지지하고 있음을 말하고 싶다”며 “연합사령관이 건의하고 동맹 차원에서 결정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한국 내에서 사드 문제와 관련해 지지가 높아지는 것을 봤다”며 “이제는 사드 문제를 좀 더 발전시킬 때가 됐다고 보고 북한의 위협에 대해 계속해서 긴밀히 협조 공조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
7일 서울 국방부에서 한민구 국방부 장관이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응해 커티스 스캐퍼로티 한미연합사령관, 마크 리퍼트 주한 미 대사와 함께 한미 긴급 대책회의를 하기에 앞서 모두발언하고 있다. 2016.2.7 연합뉴스
|
[관련 기사] 북한 “광명성4호 궤도 진입 성공…위성 더 쏠 것”
박 대통령 “용납할 수 없는 도발…하루속히 강력 제재”
미·일 “용납 못해” 강력 규탄…중국은 “유감” 대화 촉구
외교부, ‘안보리 긴급소집 요청’ 주유엔대표부에 지시
국토부·해수부 “페어링 떨어지는 지점 항공기·선박피해 없었다”
미 상원, 대북제재법안 10일 처리할 듯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