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6.04.24 10:10 수정 : 2016.04.24 10:10

리수용 북한 외무상이 지난 3월 1일 스위스 제네바의 유럽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31차 유엔(UN) 인권이사회에서 기조 연설을 하고 있다. 제네바/AP 연합뉴스

북한 두 차례 같은 제안 있었지만 미국이 거부
“미, 대북 적대시 정책 폐기하면 상응하는 조처”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리수용 북한 외무상은 23일(현지시각) 한-미가 연합군사훈련을 중지하면 북한도 핵실험을 중단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북한은 지난해 1월에도 같은 제안을 했으나 미국은 이를 거부했으며, 올 2월에도 외무성 관계자들이 미국 전문가들을 만나 간접적으로 이 같은 제안을 제시했지만 미국 정부가 수용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리 외무상은 이날 뉴욕 유엔 북한대표부 건물에서 진행된 <에이피>(AP)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미국이) 조선반도(한반도)에서 핵전쟁 연습을 중단하면, 우리도 핵실험을 중지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그는 이어 “연합훈련을 일정기간 동안, 몇년동안 중지한다면, 북미 간 두나라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새로운 기회들이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가 대결의 길을 계속 간다면 (북-미) 양국 뿐 아니라 전 세계에 매우 재앙적인 결말이 올 수 밖에 없다”며 “미국 정부가 대북 적대시 정책을 폐기하고, 이의 표현으로 조선반도에서의 군사연습, 전쟁연습을 중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면 우리도 상응하는 조처를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과 같은 작은 나라가 실질적으로 미국이나 세계에 위협이 되지 못한다”며 “세계 각국이 미국과 미국 정부에 조선반도에서 더이상 군사연습을 하지 말라고 말해 준다면 얼마나 좋겠느냐. 그러나 미국에 대해 그렇게 말하는 나라가 단 한 곳도 없다”고 덧붙였다.

리 외무상은 대북제재가 북한을 흔들지 못할 것이라며 ”우리를 제재로 좌절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완전한 오판“이라고 주장했다. 미국의 쿠바 및 이란과의 관계 정상화에 대해 그는 “쿠바와 이란 국민이 자국의 목적과 이익을 추구하는 길을 걸어 성공에 도달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 그러나 북-미 관계는 완전히 다르다“라고 선을 그었다.

북한은 지난해 1월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미국이 올해에 남조선과 그 주변에서 연합군사연습을 임시중지하는 것으로써 조선반도의 긴장완화에 기여할 것을 제기하고, 이 경우 우리도 미국이 우려하는 핵실험을 임시중지하는 화답 조처를 취할 용의가 있다”는 메시지를 미국 쪽에 전달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미국 정부는 “일상적인 한-미 훈련을 핵실험 가능성과 부적절하게 연결하는 북한의 성명은 암묵적 위협”이라며 거부한 바 있다.

올해 2월에도 최선희 북한 외무성 미주 담당 부국장이 독일 베를린에서 미국 전문가들과 만나 이같은 제안을 다시 했으며, 미 행정부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정부는 대화나 평화협정 논의를 위해선 북한의 진정성있는 비핵화 행동이 먼저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한편,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은 22일 파리 기후변화협정 서명식장 및 기념 오찬에서 리수용 북한 외무상과 짧은 조우를 했지만, 반 총장의 방북 문제 등에 대해서는 얘기가 오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리 외무상은 각국 대표 가운데 76번째로 이날 오후 유엔총회장의 단상에 올라 테이블에 놓인 파리 기후협정문 원문에 서명한 뒤 반 총장과 밝은 표정으로 악수를 나눴으며 1분여 정도 짧게 대화를 나눴다. 리 외무상은 이날 오전 오찬에서도 반 총장과 짧은 대화를 나눴다고 스페판 두자릭 유엔 대변인은 밝혔다.

두자릭 대변인은 “(서명식장에서) 반 사무총장이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일치된 대응의 중요성을 포함해 유엔과 북한과의 관계에 대해 짤막하게 언급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반 총장과 리 외무상은 별도의 양자 면담을 갖지는 않았으며, 반 총장의 방북 문제 거론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도 면담을 신청하지 않았으며, 반 총장 쪽도 유엔 주도의 대북제재가 이뤄지는 국면임을 감안해 면담에 적극적이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리 외무상은 2014년과 2015년 유엔총회 참석차 방문했을 때에는 반 총장과의 개별 면담이 이뤄졌고 언론에도 공개한 바 있다.

한편, 이날 서명식에 참석한 윤성규 환경부 장관은 특파원들과 만난 자리에서 남북 간 환경사업 협력을 할 용의가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며 “다만, 국제기구를 통해 (북한과의 사업 가능성을) 타진해달라 한 적은 있는데, 실제로 (북한으로부터) 반응은 없었다. 기회 있을 때마다 중국하고 만나면 중국한테도 얘기했지만 (북한의) 반응이 없었다”고 소개했다.

윤 장관은 “지난 2004년도 북한을 갔다온 적이 있다”며 “(북한의 산림) 녹화를 해도 나무를 심는 것은 기본이고 비료와 땔깜을 동시에 제공해야 한다. 땔깜을 안해주면 (북한의) 녹화가 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남북관계가 진전되면 가장 우선적으로 할 수 있는 환경 사업으로 ‘북한의 수도시설’을 꼽았다. 그는 “수도시설을 농어촌 지역같은데 설치하면 큰 비용도 들지 않고 할 수가 있을 것이다. 그 다음에 하천 수질 관리는 우리가 경험도 많고, 수질 측정도 도와줄 수 있다”고 말했다.

워싱턴/이용인 특파원yyi@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