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7.01.25 06:01
수정 : 2017.01.25 07:07
|
퇴임을 이틀 앞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각) 백악관 브리핑룸에서 마지막 기자회견을 마친 뒤 “행운을 빈다”고 작별 인사를 하고 있다. 워싱턴/AFP 연합뉴스
|
임기 종료 직전 유엔 통해
5년여만에 정부차원 지원
|
퇴임을 이틀 앞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각) 백악관 브리핑룸에서 마지막 기자회견을 마친 뒤 “행운을 빈다”고 작별 인사를 하고 있다. 워싱턴/AFP 연합뉴스
|
미국 정부가 북한 함경북도 지역의 수해 지원을 명목으로 정부 차원의 인도적 지원을 유엔을 통해 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정부 내부 사정에 밝은 워싱턴의 한반도 문제 전문가는 24일 <한겨레>에 “오바마 행정부가 임기 종료 직전 유엔을 통해 인도적 지원을 북한에 했으며, 이런 사실을 트럼프 행정부가 조만간 공개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전문가는 미국의 대북 인도적 지원은 “상징적 수준”이라며 구체적 규모와 품목은 언급하지 않았다.
미국 정부 차원의 대북 인도적 지원은 2011년 민간구호단체인 ‘사마리탄스 퍼스’(사마리아인의 지갑)를 통해 90만달러를 지원한 이후 5년여 만이다. 미국의 전임 오바마 행정부는 북한의 4·5차 핵실험에 대응해 독자 대북 제재를 강화하면서도 민간 차원의 인도적 지원은 허용했지만, 정부 차원의 지원은 하지 않았다.
‘전략적 인내’라는 강경한 대북 방관 정책으로 일관해오던 전임 오바마 행정부가 임기 종료 직전 ‘유엔을 통한 정부 차원의 인도적 지원’ 카드를 쓴 건 의미심장한 ‘대북 신호’로 볼 수 있다. 인도적 지원 실행의 정치적 부담을 후임 트럼프 행정부에 지우지 않으면서도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 초 북한 쪽과 물밑 접촉을 통해 새로운 북-미 관계 설정을 탐색할 수단을 제공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제훈 기자
nomad@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