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외교참모 “사드 배치 한국 새 대통령 결정할 일”
‘조속 배치’ 입장서 ‘대선후’로 미뤄
미, 사드 정책 변화 시도인지 주목
미 부통령쪽, 논란 일자 “정책 불변”
외교부도 “신속배치 기조 변화 없어”
중국 대북압박 협조와 맞물려
“미, 협의부분 남기겠단 의중” 분석
16일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과 함께 방한한 백악관의 한 외교정책 참모가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 배치 완료와 관련해 “차기 한국 대통령이 결정할 일”이라고 말한 것은 ‘사드의 조속한 배치가 한·미 양국의 공동 입장’이라는 그동안의 기조와 조금 결이 다른 것이어서 주목된다.
정부는 지난 2월말 롯데와 부지교환 계약을 맺어 성주 골프장을 확보하자 사드 배치를 서둘러왔다. 국방부는 롯데와의 부지교환 계약이 롯데 쪽의 망설임으로 예상보다 늦어지자, 지난해 12월 환경영향평가 대행 업체도 미리 선정해 사전 조사를 진행해왔다. 또 지난 3월에는 사드의 발사차량 2대가 포함된 부품 일부를 오산 공군기지로 미리 들여온 뒤 이를 전격 공개했다. 당시 박근혜 대통령 탄핵 절차가 진행되던 상황이어서, 이런 행보는 향후 정권의 향배와 무관하게 사드 배치를 기정사실화하려는 ‘대못 박기’라는 평가도 받았다. 정부는 실제 사드 배치를 가능한 한 “신속히”, “계획대로” 진행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고, 사드 배치 여부를 5월9일 대선으로 출범하는 정부에 넘기라는 정치권의 요구에 “국가 안보 사안은 국내 정치 일정과 무관하게 추진돼야 한다”며 거부해왔다. 이런 맥락에 비춰 이번 발언은 사드 배치 완료를 사실상 차기 정부에서 결정할 사안이라고 여지를 남기는 것으로 해석돼, 실제 미국이 사드 배치와 관련해 정책 변화를 시도하려는 것인지 관심을 모은다.
|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이 16일 오후 한국에 도착해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을 찾아 분향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
광고

기사공유하기